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517건 검색되었습니다.
최고과학기술인상에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메모리반도체 분야 공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객원연구원,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 선임연구원 등을 거쳐 1998년부터 서울대 재료
공학
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황 교수는 디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 분야를 뛰어넘어 새로운 소자와 물질 발견에 크게 기여했다. 30여년 동안 SCI급 논문 750편, 피인용 5만1500회, 특허 출원 및 등록 227건, ... ...
암 환자 맞춤형 항암제, 생성AI가 설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연구원(GIST)은 남호정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150만 개 화학 구조와 120만 개 약물 반응 데이터를 학습한 암 유전자 기반 맞춤형 항암제 후보물질 생성 AI 모델 'G2D-Diff'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G2D-Diff 모델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 ...
[과기원NOW] UNIST, 교자성체 메모리 소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교수(왼쪽)와 손창희 물리학과 교수.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유정우 신소재
공학
과 교수팀과 손창희 물리학과 교수팀이 산화루테늄 교자성체 기반 자기 터널 접합 소자를 개발하고 이 소자에서 유효한 크기의 터널 자기저항(TMR)을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연구팀은 고진공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재발 미리 본다…'백혈병 모사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백혈병 모사칩(leukemia-on-a-chip)'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물의학
공학
'에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CAR-T 치료는 환자의 면역세포를 유전적으로 변형해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면역치료다. 실제 치료에선 약 절반의 환자가 재발을 겪고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 등 심각한 ... ...
유전자가위 오작동 줄였다…배상수 서울대교수 연구팀, ‘Correct-Cas9’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원하는 유전자 부위를 선택적으로 절단해 교정할 수 있는 생명
공학
기술이다. 일반적인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표적 DNA와 유사한 염기서열까지 절단하는 문제로 정확성 확보가 어렵다. 인간의 게놈은 약 30억 개의 염기로 구성돼 있어 표적 염기서열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 ...
7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상현 연세대 교수…그린바이오수소 분야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7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김상현 연세대 건설환경
공학
과 교수가 선정됐다. 수소경제 실현과 2050년 탄소중립 목표 성공을 뒷받침할 그린바이오수소 고효율 생산기술 개발 성과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7월 ... ...
해군 함정 은밀한 작전 돕는다…내부 소음 예측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이성현 가상
공학
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선체 진동과 수중방사소음 간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알고리즘과 최적 센서 배치 설계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함정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했다고 2일 밝혔다. ... ...
천연물 '아카세틴'에서 지방간질환 치료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밝혔다. MAFLD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는 권호정 생명
공학
과 교수 연구팀이 한국산 향신료이자 약초로 알려진 배초향에서 유래한 천연 플라보노이드 ‘아카세틴’의 MAFLD 개선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오토파지’에 지난달 23일 ... ...
빛 적응 위해 인간 시각 시스템 모방한 로봇 눈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한다. 인간의 암순응을 모방한 로봇 눈이 개발됐다. 윤 예 중국 푸저우대 물리정보
공학
대학 연구원 연구팀은 양자점(퀀텀닷)을 이용해 사람의 눈을 모방한 로봇 눈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2일 국제학술지 '응용 물리학 레터스'에 발표했다. 양자점은 나노미터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 ...
[과기원NOW] GIST '이봄 AI 피아노', 글로벌 AI 리더들 매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등에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임춘택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과 교수가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산하 전력전자학회(PELS)로부터 2025년 '밀란 요바노비치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상은 매년 무선전력 전송 분야에서 가장 선도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탁월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