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또
Kyoto
쿄토
쿄또
경도
뉴스
"
교토
"(으)로 총 22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컷쥐 정자 질주 비결, '갈고리' 머리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UNIST)은 박정훈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이 김재익 생명과학과 교수팀, 류흥진 일본
교토
대 연구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쥐 생식기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자의 이동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이같은 현상을 발견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광자현미경' 기반의 3차원 영상 획득 기술을 ... ...
세계 최초 목재로 만든 인공위성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연소해 지구 궤도의 우주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교토
대 인간우주학센터는 5일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리그노샛이) 안전하게 우주로 날아갔다"고 밝혔다. 위성은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스페이스X 로켓에 실려 ... ...
[노벨상 2024] 7일부터 생리의학상…노벨상만큼 값진 과학상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수학계의 가장 명예로운 상으로 여겨진다. 그밖에
교토
상, 베틀레센상 등이 있다.
교토
상은 인류의 과학적, 문화적, 정신적 발전에 크게 기여한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살아 있는 경영의 신'이라 불리는 이나모리 가즈오 교세라 명예회장이 사재를 털어 만든 일본판 '노벨상'이다. ... ...
환자 줄기세포로 세계 최초 당뇨병 치료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11명은 외부 인슐린이 사용이 줄거나 필요 없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스케 야베 일본
교토
대 당뇨병·내분비·영양학과 교수팀도 기증자의 줄기세포로 췌도 세포를 만들어 제1형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하는 임상시험을 준비 중이다. 첫 이식 수술은 내년 초로 예정됐다. - doi.org/10.1016/j ... ...
기후위기 왜 심해지나 봤더니..."대다수 기후정책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8.26
대해 명확하면서도 냉정한 관점을 제시한다"고 자평했다. 전세계 정부는 1997년
교토
의정서가 채택된 이후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15년 유엔(UN)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에서 후속 협정격인 파리협정이 채택된 이후에는 선진국 뿐만 아니라 모든 당사국이 배출 감축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려대안산병원 박주현 교수, Travel Award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제공 ■ 고려대안산병원은 박주현 가정의학과 교수가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일본
교토
에서 개최된 ‘2024 제8회 일본암학회-미국암연구학회'에서 '트래블 어워드(Travel Award)'를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일본암학회와 미국암연구학회가 공동으로 여는 학회다. 트래블 어워드는 참여 ... ...
유도만능줄기세포서 정자·난자 전 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분화할 수 있다. 21일 아사히신문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사이토 미치노리 일본
교토
대 교수 연구팀이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로부터 만들어진 '원시생식세포'와 유사한 세포에 특정 단백질을 첨가해 정자나 난자가 되기 전 단계인 정원·난원세포로 대량 분화하는 것을 확인하고 20일 네이처에 ... ...
네이처 "1세 아기도 참여한 한국의 '기후 소송'에 전세계 관심"
2024.05.21
기후 소송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이처 보도에 따르면 마사코 이치하라 일본
교토
기후적응센터 기후소송 연구원은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기후 소송에 대해 "아시아에서 매우 중요한 판결"이라며 "한국 원고들에게 유리한 판결이 내려지면 아시아를 비롯한 전세계의 기후 운동가들에게 ... ...
독특한 성대로 큰 소리 내 몸집 커 보이게 하는 여우원숭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있을 때 소리를 더 크게 낼 수 있다는 점을 알아냈다. 연구를 이끈 니시무라 다케시
교토
대 교수는 "추가적인 성대가 여우원숭이 울음소리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여우원숭이의 소리를 실제보다 크게 만든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여우원숭이의 성대 구조는 약 3500만 년 전에 진화 과정에서 ... ...
12년째 이어진 수학계 '초전도체급 스캔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인터뷰 혹은 토론에도 거의 응하지 않았다. 결국 숄체와 스틱스가 2018년 3월
교토
대를 찾아가 모치츠키와 토론을 했을 때도 지적을 받아들이지 않고 "논문을 근본적으로 잘못 이해했다"는 완강한 입장을 고수했다고 전해진다. 올 3월 커티 조쉬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가 이들의 논문 내용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