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광
관람
유람
참관
시찰
순람
방문
뉴스
"
구경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물리학의 70년 '요새' 최대 가치는 '다양성과 존중'
과학동아
l
2024.08.10
시작하자 기대감에 가슴이 격하게 뛰었다. CERN의 연구자가 아닌 방문객이 LHC를 직접
구경
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가속기가 가동 중일 때에는 엄청난 자기장이 발생해 접근할 수 없고 가속된 입자들과 충돌로 뿜어져 나오는 입자들은 모두 방사선이라 안전 문제도 생긴다. LHC를 보기에 가장 좋은 ... ...
사람에 적용가능한 '자기입자영상' 개발…맞춤형 뇌질환 치료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촬영에만 활용됐다. 인체에 적용하려면 넓은 시야각이 확보돼야 한다. 이를 위해
구경
을 증가시키면 자장 변화를 거리 변화로 나눈 값인 ‘경사자기장’이 급속히 감소해 해상도가 낮아지게 된다.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면서 높은 해상도를 유지하는 기술 개발이 관건이다. 사람에게 MPI ... ...
[잠깐과학] 1884년 6월 16일…롤러코스터 놀이공원에 첫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29
롤러코스터와는 달리 의자가 앞이 아닌 옆을 향하고 있어 승객들은 바깥 경치를
구경
하며 탑승을 즐겼답니다. 스위치백 레일웨이가 등장한 이후 롤러코스터는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트랙의 높이는 점점 높아졌고 의자도 옆이 아닌 앞을 바라보도록 해 스릴감이 더해졌어요. 철제 롤러코스터가 ... ...
[人투더스페이스]④ "우주청, 어떤 국제협력할지 고민해야…기초과학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지상국도 제주도에 있어 의미가 있다. 체험관 등도 조성해 관광지처럼 누구나 들어와서
구경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다." Q. 내년이 창립 10주년이다. 지금껏 걸어온 길에 대해 감회가 있을 것 같다. "2015년 1월에 창업하고 2018년 5월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첫 박람회를 나갔다. 부스에 사람들이 ... ...
신고리 1호기 원전, 정기 검사 후 '임계 허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검사 과정에서 발견된 슬러지 등 이물질 6개를 제거했다. 원자로냉각재계통 소
구경
배관 용접부 보수와 보호계전기 교체 등도 관련 기준에 따라 적합하게 수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원안위는 "출력상승시험 등 후속 검사 12개를 통해 안정성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한국 7차원 망원경 첫 관측물 공개…빛나는 은하·성운 모습 담겨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스펙트럼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7차원 망원경을 개발했다. 7차원 망원경은 20대의 0.5m
구경
광시야 망원경으로 구성됐다. 각 망원경에는 6000만 화소를 갖춘 고성능 시모스(CMOS) 센서를 장착한 카메라와 2개 이상의 중대역 필터가 장착된다. 지금까지 계획된 20대의 망원경 중 10대 망원경의 설치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나치게 파격적인 의대 증원
2024.02.14
의대로 몰려가는 것이 아니다. 이미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도 의대 광풍을 강 건너 불
구경
하듯 지켜보기만 하지 않을 모양새다. 최상위권 대학의 이공계열의 재학생이 학업을 포기하고 의대로 빠져나간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학생들의 대규모 연쇄 이동도 불가피해진다. ‘SKY서성한’과 ... ...
[과기원NOW] 최진석 KAIST 교수, IEEE서 ‘우수 젊은 연구자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2
정훈진 박사 공동 연구팀이 최첨단 드래깅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기공이 있는 인공 소
구경
혈관(SDV)을 만들고, 이를 통해 내피를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SDV는 지름이 5mm 이하인 인공혈관으로, 기존 SDV는 대부분 내피가 없어 혈전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 ...
"누리호·다누리 잇는 우주개발 성과로 우주망원경에 도전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제작 중인 이 망원경의 한국 지분은 10%다. 황 교수는 “마젤란은
구경
이 25m로, 기존
구경
3m 망원경 대비 100배 이상 어두운 천체를 관측할 수 있지만 지상에 있다 보니 해상도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며 "우주 망원경은 대기의 영향을 받지 않으니 해상도가 좋은 이미지를 얻는다"고 말했다. 이어 ... ...
"한국, 지구위협소행성 감시 망원경 직접 개발...2027년부터 운영"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광학감시스템' 구축 사업에 최근 착수했다. 782만달러(약 102억원)을 투입해
구경
1.5m의 망원경을 제작하고 2027년부터 운영할 예정이다. 남미 지역에서 소행성 탐사만을 목적으로 한 망원경 중 최대 크기다.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지구위협소행성을 발견했던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보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