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ozzle
발사구
방출구
분사구
주둥이
뉴스
"
노즐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식·누수 없는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 기술 개발…"화재예방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부재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관 부식으로 인한 스프링클러 살수 능력 저하와
노즐
막힘 현상. '소방배관 시스템 부식문제 해결 촉구' 국회 세미나 제공 연구팀은 배관 외측의 홈테에 금속링을 끼우고 오링 2개와 가이드링을 배관에 연결한 뒤 하우징으로 체결해 2중으로 누수를 차단하는 ... ...
한빛 1·2호기 원전, 신규
노즐
로 부식·균열 저항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추진했다. 이번에 심의된 운영 변경허가(안)은 기존 BMI
노즐
일부를 제거하고 교체
노즐
과 용접부를 기존 재료보다 응력부식균열 저항성이 뛰어난 재질로 바꿔 보수하기 위해 새로운 재료와 보수 방법을 한빛 1·2호기 운영안에 추가한다는 내용이다. 원안위는 이번 안건이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서 ... ...
크리스마스 이브에 직접 만든 로켓 쏘아올리는 고교생
과학동아
l
2023.12.16
엔진이 처음부터 휘어져서 고정됐거든요. 실패를 겪으면서 느낀 점은 시멘트로
노즐
을 만들더라도 강한 힘을 받으니 갈라지고 부서진다는 점이었습니다. 진짜 로켓에서 사용하는 탄소강 합금까진 아니더라도 스테인리스로 엔진을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죠. 사실 2022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정상국 교수...전자식 자가세정 유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11.01
전극층을 이용한 발열필름 등 광학센서용 세정기술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계식 방식은
노즐
, 세척액, 와이퍼, 구동모터 등 크고 무거운 구동부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고, 발열필름은 발열 시 소모전력이 크고 구동 속도가 느려 실시간 세정이 불가능하다. 카메라에 전자식 자가세정 유리를 적용하자 ... ...
천체물리학 난제 '블랙홀 회전' 증명…'제트' 방출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28
상호 작용하며 방출되는 것으로 추측되는 기체·액체의 빠른 흐름을 말한다. 물질이
노즐
같은 구조를 통과해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방출되며 생성된다. M87과 같은 초대질량블랙홀의 제트 방출 매커니즘은 현대 천체물리학의 주요 난제 중 하나다. 현재 주류이론은 블랙홀이 빠르게 ... ...
레이저·수압으로 차량용 반도체 쉽게 정밀 가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수 있는 광학 시스템을 적용했다. 연구팀은 고압 펌프로 만든 고압수를 워터젯
노즐
에 통과시켜 가공 장치 내부에 50㎜ 이상 길이로 층류가 형성되도록 했다. 그리고 레이저 빔을 층류 내부 한군데로 모은 뒤 워터젯 물줄기를 따라 제품을 가공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빠른 속도로 ... ...
자연 속 천연색 구현하는 '나노 3D 프린팅'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07
경로로 반사돼 자연적인 구조색이 발생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회절 격자는 3D 프린팅
노즐
을 마치 바느질하듯이 움직여 다리 모양(﹇)의 회절격자를 여러 줄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에 불과한 미세한 빛의 회절도 제어할 수 있다. 이번에 구현한 회절격자는 ... ...
세번째 발사 누리호 "3단 조립 남았다"...막바지 작업 착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발사대 하단의 옆구리로 빠져나간다. 화염유도로엔 ‘코끼리 코’를 닮은 물 분사
노즐
도 삽입된다. 물을 뿜어내 온도를 낮춘다. 발사 때 뭉게구름 모양의 수증기가 보이는 이유다. 강선일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 책임연구원은 “발사를 앞두고 마지막 발사대 정비를 진행 중”이라며 “이날은 ... ...
피부처럼 유연한 ‘스킨일렉트로닉스’ 구현 3D프린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연구팀은 잉크의 유화작용을 이용해 전방위로 자유로운 3D프린팅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노즐
이 막히는 문제 또한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소프트 전도성 소재를 개발하였다. 전방위 삼차원 프린팅은 한 층씩 쌓아가는 기존의 3D 프린팅과 달리 하부층 없이 삼차원으로 인쇄하는 기술이다. ... ...
고정환 "누리호 3차 발사가 진정한 검증대...성공 부담도 고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3차 발사에 활용될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1~2단 연결 준비 작업이 진행됐다. 방향 제어,
노즐
장치 등 기능 점검은 이미 완료됐다. 3단은 누리호에 실릴 위성 도착 후 연결된다. 조립 장면이 한눈에 보이는 사무실에서 고정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을 만났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