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면적
평수
뉴스
"
땅크기
"(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IGC2024] 거제·고성에서 만난 조류와 뒤얽힌 공룡의 흔적…"대단한 지질학적 가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8.28
거제 사등면 청곡리 해안가 암층에 남아있는 조각류 공룡 하드로사우르스의 발자국. 거제=박정연 기자 26일 찾은 거제 사등면 청곡리 해안가에는 바다 내음이 가득했다. 조수간만의 차가 심한 해안가에는 따개비와 해초가 잔뜩 낀 미끄러운 바위들이 바다와 산의 경계를 빼곡히 메우고 있었다. 낮 ... ...
[IGC2024] "화성에는 왜 자기장 없을까…지구 내부도 아직 제대로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인터뷰 중인 이용재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부산=이병구 기자 "최근 화성 탐사선 '인사이트(insight)'가 화성 지진파 자료를 보내오면서 그동안 화성 내부에 대해 추측했던 내용이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과거에 화성은 핵이 굳어서 고체가 된 죽은 행성이라고만 생각했 ... ...
'코딱지' 맛이 짭짤한 이유…안전한 제거 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균 + 먼지 + 콧물 = 코딱지 ● 코가 몸을 지킨 흔적, 코딱지 우리가 숨을 들이마시면 공중을 떠다니던 먼지와 세균, 바이러스가 공기와 함께 콧속으로 들어옵니다. 그러면 우리 몸은 콧물을 통해 이물질들이 몸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어하죠. 콧물은 코 안쪽의 점 ... ...
파리올림픽에서 활약할 수직이착륙기, 상용화 조건은
과학동아
l
2024.07.27
Volocopter GmbH 제공 2024년 7월 27일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베르사유 궁전에서는 마장마술 단체전 경기가 열린다. 간밤 파리 세느강에서 열린 올림픽 개막식의 여운이 채 가시지 않았지만 일찍 일어나 나갈 채비를 완료했다. 오전 8시경 파리 남서쪽에 있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이착륙장, 이시레 ... ...
드론에 항공기까지 '구름씨' 살포…5년간 인공강우로 산불예방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2일 비상을 준비하는 인공강우용 드론. 기상청 제공 "드론 이륙 시작!" 지난 3일 해발고도 823m 대관령에 자리한 강원 평창군 '구름물리선도센터' 실험장에서 드론 한 대가 굉음을 내며 날아오르기 시작했다. 이 드론은 인공강우용 드론으로 아랫 부분에 인공강우 유발 물질인 '구름씨'를 뿌리는 연소 ... ...
땅 속 고압 아닌 1기압에서 세계 최초 다이아몬드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다이아몬드는 땅속의 고온고압 환경에서 수백만 년 이상의 시간 동안 탄소 원자가 결합해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우리가 생활하는 대기압 수준에서 다이아몬드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반도체나 양자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요긴하게 쓰이는 다이아 ... ...
알 낳는 양서류, 새끼에게 모유 먹이는 모습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새끼 시포놉스 아눌라투스가 어미의 배설강에서 나오는 우유를 먹고 있다. Science 제공.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행동은 포유류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서류에 속하는 한 동물이 모유 수유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기존 동물 분류 체계에 어긋나는 이례적인 현상이다. 카를로스 제라드 브라 ... ...
인간의 이족 보행 단서는 '반고리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루펑피테쿠스의 귓속 반고리관을 3D 기술로 재현한 모습. 뉴욕대 제공. 유인원 화석의 귓속 반고리관을 3D 기술로 재현해 인간이 사족보행에서 이족보행으로 진화한 과정을 유추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600만년 된 유인원 ‘루펑피테쿠스’의 두개골 화석에서 발견된 단서다. 테리 해리슨 미국 뉴 ... ...
나무 막대기 하나로 알아낸 지구의 크기
2024.01.1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금이야 지구가 둥글단 증거가 많이 밝혀졌지만 예전에는 지구가 편평하다고 믿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옛날 사람들은 지구가 둥글단 걸 어떻게 알아냈을까요. ● 과거엔 지구가 편평했다고 믿었다? 저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별과 우주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매년 비행 ... ...
[과기원NOW] DGIST, 빛으로 작동하는 신개념 광 GPU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한상윤 DGIST 교수, 김도윤·김동욱·박영재 학생, 유경식 KAIST 교수, 정영재 학생(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DGIST 제공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한상윤 로봇빛기계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유경식 KAIST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대기전력을 기존 대비 100배 이해로 줄일 수 있는 광-GPU 기술을 개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