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리
집단
모임
그룹
군체
군
무더기
뉴스
"
떼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은 사실 왼손잡이다? 왼손잡이 아미노산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4.07.27
Ala)과 오른손잡이 알라닌(D-Ala) 두 종류가 있습니다. 그런데 알라닌에서 다시 아미노기를
떼
피루브산으로 돌려놓는 과정에서 오른손잡이 알라닌이 피루브산으로 돌아가는 속도가 왼손잡이 알라닌이 피루브산으로 돌아가는 속도보다 더 빨랐습니다. 이는 오른손잡이 알라닌이 '소진되는' 속도가 ... ...
과학자 출신 황정아 의원, '국가 예산 5% 이상 R&D 투입' 22대 국회 1호 법안 제출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R&D 예산이 수조원 삭감되고 연구 현장은 쑥대밭이 됐다"며 "대통령과 정부가 막무가내
떼
쓰기식 정책을 바꿀 생각이 없다면 국회에서 입법으로 바꿔야 한다”며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국가 총예산 대비 R&D 예산 비중은 4.9% 수준이었다. 윤 ... ...
예견된 하루살이
떼
의 서울 '급습'…"유전적 다양성 높아 더 심각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많이 잡혔다. 북한강과 한강 유역이 만나는 경기 남양주시에서 나타났던 동양하루살이
떼
는 최근 3년간 서울 성동구, 송파구 일대 등 한강 하류 지역에서도 출몰하고 있다. 동양하루살이는 사할린하루살이, 가는무늬하루살이, 무늬하루살이를 비롯해 국내에 나타나는 하루살이속(Ephemera) 중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③ "아내 같은 과학자가 연구 포기하면 국가 손실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보채지 않아요. 늦게 엄마, 아빠가 가면 함께 있는 시간이 적다는 걸 알기 때문에
떼
를 부리는 경우가 자주 있었거든요. 함께 있을 시간이 많으니까 아이도 여유가 생기는 것 같아요."(이 연구원) 윤 연구원은 "가끔 아이를 위해 일을 그만둬야 하나라고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오히려 아이를 위해 ... ...
100만달러 상금 걸린 수학난제 실마리 찾은 AI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모양이 수백 마리로 이뤄진 찌르레기
떼
가 오르락내리락하는 모양과 비슷해 찌르레기
떼
움직임을 일컫는 영어 단어 ‘머뮤레이션즈(Murmurations)’라 이름 붙였다. 이 교수는 화상 인터뷰에서 “타원곡선에서 특정 두 개의 그래프가 각자의 위치에서 오르락내리락하는 모양을 띤다는 것은 잘 ... ...
사냥시 서로 안 찔리려고 줄무늬 반짝이는 청새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마리가 사냥을 끝내고 사라지면 가까이에 있던 청새치가 줄무늬를 밝히며 다시 정어리
떼
를 공격한다. 이런 색 변화는 청새치가 사냥할 때만 일어났다. 다른 청새치에게 뒤로 물러서라는 경고 신호인 셈이다. 연구팀은 "줄무늬 색깔을 바꾸는 것은 먹이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 ...
세균도 경험 '기억'한다…후손까지 정보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3.11.22
이룰 경우 건강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될 수 있다. 연구팀은 선행연구를 통해 이전에
떼
를 지었던 경험이 있는 대장균들이 다시 스워밍을 할 때 이전보다 더 효과적으로 행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낸 바 있다. 이는 일종의 학습된 기억으로 생긴 행동이지만 연구팀은 박테리아에게는 기억을 ... ...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했을까
과학동아
l
2023.11.18
그는 프랑스 북부 푸이 르 포르 지역에 있는 로시뇰의 농장으로 가 그곳의 양
떼
와 다른 우제류 동물들을 대상으로 탄저균 백신 접종 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50마리의 양 중 절반에게 탄저균 백신을 접종하고 이후 모든 양에게 탄저균을 접종했다. 이틀 후인 6월 2일 그는 백신의 효과를 확인하는 ... ...
미숙아 인공호흡기 언제
떼
나...AI로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3
“인공호흡기를 쓰는 미숙아는 빨라도, 늦어도 안 되는 최적의 시점에 인공호흡기를
떼
는 것이 중요하다”며 “발관 성공 가능성을 예측해주는 인공지능이 의료현장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해 예측모델을 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환자의 실시간 생체신호를 AI로 분석해 발관 ... ...
[표지로 읽는 과학] 17년만에 쏟아져나온 매미
떼
, 먹이사슬 바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22
사이언스 제공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식물 줄기에 매달려 있는 매미 한 마리를 보여준다. 13, 17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땅속에서 지내다 한꺼번에 지상으로 쏟아져 나오는 미국 '주기 매미'가 먹이사슬의 흐름을 바꿔놓고 있다는 연구다. 조 제트맨-피커링 미국 조지워싱턴대 생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