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몸단장"(으)로 총 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 비밀 밝히는 연구 '열쇠' 시냅스 관찰 기술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24.09.11
-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뇌과학 연구의 핵심인 시냅스 관찰 및 조절 기술을 집대성한 지침서를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이 뇌과학 연구의 핵심인 시냅스 관찰 및 조절 기술을 집대성한 지침서를 발표했다. IBS는 강봉균 인지및사회성연구단 단장, 이상규 인지및사회성연 ... ...
- "김치 먹으면 3대 만성질환 '이상지질혈증' 개선"동아사이언스 l2024.09.09
- 세계김치연구소 제공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 이상지질혈증을 개선하는 데 김치 섭취가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세계김치연구소는 홍성욱 김치기능성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한국인 영양조사를 기반으로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김치 섭취에 따른 지표 개선 상관성을 코호트 분석한 ... ...
- 고기후 연구는 인류 진화의 비밀 푸는 열쇠과학동아 l2024.08.24
- 과학동아 제공 비생물적 환경 요인은 생물의 생활 방식, 번식 방법, 분포 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생물은 생활 습성, 몸의 구조와 기능을 바꾸면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고 있다…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과 환경은 상호 작용하므로 환경이 변하면 그 환경에서 살아가는 생물의 종류와 수도 변하 ... ...
- [동물do감] "같이 가자, 따라와"…침팬지, 인간처럼 ‘속사포’ 대화동아사이언스 l2024.07.25
- 하기 위해 몸짓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침팬지는 상대방의 몸에서 해충을 잡아주는 몸단장을 할 때 몸짓 대화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았다. 한 마리의 침팬지가 손질을 요청하는 몸짓을 하면 다른 침팬지는 어느 부위를 손질받고 싶은지 묻는 식으로 대화가 이어졌다. 다른 동물들도 의사소통을 ... ...
- 노태원 고등과학원장 "과학자 처우 개선에 집중"동아사이언스 l2024.07.16
- 노태원 고등과학원장. 고등과학원 제공 "선진국으로 갈수록 '집중 투자'가 아닌 '분산 투자'를 합니다. 기초학문도 마찬가지예요. 선진국 반열에 오른 한국도 이제 기초학문에 다양한 방식의 투자를 해야 합니다. 어떤 분야나 어떤 방식의 연구에서 성과가 나올지 모르거든요. 고등과학원이 기초과 ... ...
- "AI, 생명과학에 새로운 가능성 불어넣을 것" 동아사이언스 l2023.11.06
- 이현숙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서울대 제공 “암 진단 시기를 앞당기고 환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약물을 빠르게 찾아낼 것입니다. 인공지능(AI)과 바이오의 융합은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술을 선사할 것입니다.” 지난달 31일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에서 만난 이현숙 서울대 바이 ... ...
- DNA 복구 중 결함·돌연변이 막는 ‘결정적 순간’ 포착동아사이언스 l2023.10.23
-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항상성 연구단 주요 연구진들. 좌측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명경재 연구단장, 김남우 학생연구원(공동1저자), 박수형 연구기술원(공동1저자, 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은아 연구원.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DNA 복구 단계에서 돌연변이를 막을 수 있는 ‘결정적 순간’ ... ...
- 영유아가 뇌수막염에 취약한 원인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3.10.10
- (왼쪽부터) 고규영 IBS 혈관연구단 단장, 김영찬 연구원, 안지훈 선임연구원.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영유아가 성인보다 뇌수막염에 취약한 원인을 알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고규영 혈관연구단 단장(KAIST 의과학대학원 특훈교수), 김영찬 연구원(현 서울대병원 내과 전임의), 안지훈 선임 ... ...
- "지금도 치매연구에 배고프다"...최고과학기술인상에 의사과학자 '고규영' 2023.07.02
- 202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된 고규영 KAIST 특훈교수가 30일 서울 정부청사에서 수상 소감을 밝히고 있다.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치매를 유발하는 뇌척수액 노폐물 주요배출경로를 세계 최초로 규명한 고규영 KAIST 특훈교수가 2023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 ...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23.02.23
- 마이크로RNA. 게티이미지뱅크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리보핵산(RNA)의 작은 조각인 '마이크로RNA(miRNA)'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김 단장 연구팀은 또 RNA를 활용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