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성
성장
우거짐
뉴스
"
무성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복제하는 튼튼한 곡물' 나올까...유전자 변형 연구 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5.19
봄(BABY BOM)’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를 쌀과 옥수수에 옮겨 붙였을 때 이 곡물들은
무성
생식으로 오랫동안 생존이 가능한 배아를 만들어냈다. 2019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데이비스 캠퍼스 연구팀이 진행한 후속 연구에선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사용해 베이비 봄 유전자가 활성화된 식물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경우가 많아 자연계에서는 도태되기 쉽지만, 사람이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양조장에서는
무성
생식인 출아로 증식에 문제가 없다. 라거효모는 사람에게 길들여진 상태다. ‘맥주 교황’으로 불린 독일 뮌헨공대의 양조학자 루드비히 나르치스 명예교수가 지난해 11월 30일 97세로 타계했다. 1956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접합현상에 의해 유전자를 교환하는 유성생식이 이루어진다는 것이었다. 세균은
무성
생식 뿐아니라 유성생식도 함께 하는 것이다. 자신의 발견에 흥미를 가진 레더버그는 의학 공부를 중지하고 세균에서 일어나는 유전물질의 교환방식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1947년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의과학용어의 조건] ⑧'반쪽짜리' 정부부처 용어 심의 협의회…"수장이 의지 보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2.11.08
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를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러 해석만
무성
했을 뿐 코로나19란 용어 선정에 대한 이유를 공식적으로 밝힌 바 없다. 정부가 쓰는 용어는 보편적 용어로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 정부의 용어가 언론을 통해 전파되며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메바 닮은 인공세포 만들었다
2022.10.04
부른다. 참고로 생명체의 가장 근본적인 요건은 물질대사를 통해 정체성을 유지하고
무성
생식(세포 분열) 또는 유성생식을 통해 증식할 수 있어야 한다. 지난 2010년 과학자들은 인공생명체를 만들어 주목을 받았지만 무생물에서 생물을 창조한 건 아니다. 왼쪽은 화학합성으로 만든 인공게놈이 ... ...
복지장관 임명 지연에 질병청장 자리도 안갯속…하마평
무성
연합뉴스
l
2022.05.16
백경란 교수·권준욱 원장·배현주 교수 등 물망…정은경 유임론도 [연합뉴스TV 제공] 새 정부 첫 보건복지부 장관 임명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 방역의 다른 축인 질병관리청장의 인선도 지연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9일 차관급 20명의 명단을 발표한 데 이어 ... ...
[르포]멸종위기 토종 '산개나리', 100년전 처음 발견된 곳에서 '10년째 복원 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새 개체를 만드는 보통 나무와 달리 산개나리는 가지가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리는 ‘
무성
증식’을 한다. 동일한 개체를 대량 번식하는 쉽고 빠른 방법이지만 군락의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져 병해충과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한 임업연구관은 “북한산 외에 강원 정선이나 경북 의성, 전북 임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과거 농부들이 우연히 맛있는 과일이 열리는 나무를 발견하면 꺾꽂이나 접목 등
무성
생식 방법으로 개체 수를 늘렸다. 씨앗을 심어 키운 나무에서는 같은 품질의 과일이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앞의 잡종 작물과 같은 이유다). 그런데 유성생식으로 게놈 재조합이 없음에도 새로운 특성이 종종 ... ...
2만4000년간 얼어있다 부활한 미생물, 번식도 성공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08
얼어 있는 다세포 생물인 담륜충(bdelloid rotifer)을 발견했으며, 담륜충을 해동해
무성
생식에도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7일자에 발표했다. 동물성 플랑크톤의 일종인 담륜충은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미생물로 다세포 생물에 해당한다. 이번에 연구진이 발견한 ... ...
백악기 딱정벌레 배설물이 밝혀준 꽃식물과 곤충 밀월 관계
연합뉴스
l
2021.04.13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약 2억 년 전 지구는 식물이
무성
했지만,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식물은 아직 출현하지 않았으며, 백악기인 약 1억2천500만년 전 쯤에서야 꽃식물이 다양해지기 시작했다. 현재는 꽃식물이 지구 식물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런 성공적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