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끼
끈
케이블
철삭
강삭
와이어로프
피복전선
뉴스
"
밧줄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 왜 이럴까?]종말을 외치는 사람들
2018.11.03
보는 오류보다 뱀을
밧줄
로 착각하는 오류가 훨씬 불리합니다. 따라서 인구 집단 내에는
밧줄
을 뱀으로 오인하는 호들갑 유전자가 점점 많아지게 됩니다. 험난한 환경을 겨우겨우 살아남은 고대인의 후손이 바로 지금의 우리입니다. 불필요한 불안에 시달린다고 불평하겠지만, 사실은 아주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잡아먹는 공격적인 모방을 한다. 볼라는 남아메리카의 원주민이 끝에 돌맹이를 매단
밧줄
을 던져 동물을 잡을 때 사용한 도구를 뜻하는데, 볼라스 거미도 암컷 나방의 페로몬 덩어리를 짧은 거미줄에 끈적끈적한 액체 방울을 매단 볼라를 휘둘러 나방을 잡아먹는다. 거미줄을 쳐 놓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우리 몇 개에 종별로 나뉘어 있었는데, 나무 한 그루 없는(대신 여기저기 매달아 놓은
밧줄
을 타고 다닌다) 삭막한 철창 안에 살고 있었다. 반면 원숭이 가운데 몇몇 종은 자연 서식지를 모방해 꾸민 꽤 널찍한 야외 우리를 배당받아 지내고 있었다. 물론 유인원이 원숭이보다 좋은 환경에 살아야 ... ...
벌레들의 질서 의식 ‘깜짝’
팝뉴스
l
2018.06.09
밧줄
이 아니다. 생명이 있는 벌레다. 모충들이 줄을 지어서 이동하고 있어 마치 하나의
밧줄
처럼 보인다. 사진은 호주에서 촬영되었다고 전해진다. 저 벌레들이 군대처럼 정확히 줄지어 이동하는데는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해외 네티즌들의 반응은 다양하다. 한 네티즌은 ... ...
뼈가 단단한 이유...‘나노 프랙털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8.05.04
구조를 이룬 뒤, 콜라겐 섬유를 둘러싸 굵기가 약 100nm인 긴
밧줄
모양을 만들었다. 이 ‘
밧줄
’은 다시 서로 평행하게 뭉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굵고 긴 섬유가 되고, 이 섬유가 다시 마치 가래떡을 상자에 쌓을 때처럼 차곡차곡 밀집해 단단한 뼈를 구성했다. 연구팀은 “긴 섬유 또는 바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전화벨이 울리는 소리를 들었을 때... 작고 둥근 물체가 내 눈앞에 구르고... 손가락엔
밧줄
처럼 촉감이 거친 뭔가가 느껴지고... 소금물의 맛과... 흰색의 뭔가를 경험한다.” 공감각은 유전되지만 체험방식은 다르다 - 사진 GIB 제공 자신이 공감각 소유자인지 모르는 경우 많아 사이토윅이 ... ...
거대 바다 악어 두 마리 사냥해
팝뉴스
l
2018.02.16
크기다. 어른 손바닥 길이여서, 공포감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사냥꾼은 갈고리와
밧줄
만을 이용해 악어를 잡았다고 자랑한다. 갈고리로 찌른 후 주둥이를 묶어 물에서 끄집어냈다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맨손으로 뱀 패대기치는 할머니
팝뉴스
l
2017.11.25
줄이 부딪히는 소리가 ‘쩍쩍’ 울려 퍼진다. 그런데 노파가 손에 잡고 휘두르는 것은
밧줄
이 아니라 뱀이다. 사람 키 정도 길이의 뱀이다. 할머니는 뱀을 처단하고 있는 것이다. 땅에 패대기를 치면서 뱀을 저 세상으로 보내려 했고 뜻을 이루었다. 몇 번 스윙이 반복되자 뱀은 축 늘어져 버렸다. ... ...
싸우다 뿔이 엉킨 수사슴들 ‘구조’
팝뉴스
l
2017.11.04
때 사슴이 죽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다행히 탈진해 쓰러졌던 것뿐이다. 사람들은
밧줄
로 다리를 묶고 사슴들을 개울 밖으로 끌어낸 후, 톱으로 뿔을 잘랐다. 다행히 두 마리 모두 제힘으로 걸을 수 있었다고 한다. 요즘은 발정기여서 수사슴들이 영역 다툼 하는 일이 잦은데, 두 마리 수사슴은 ... ...
화장품에 거미줄이 들어간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7.10.22
쉽게 끊어지지 않을 것이다. 거미줄은 강철보다도 5배 강력하고, 고무보다 유연해
밧줄
로 만든다면 비행기를 끌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기 때문이다. 이런 장점을 가진 거미줄은 여러 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가령 거미줄을 엮어 방탄복을 만들면 가장 강력하다고 알려진 합성 섬유 ‘케블라’에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