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성
상관
뉴스
"
비교적임
"(으)로 총 1,645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로 사라진 산 그리고 삶… 과학이 되살리는 방법
과학동아
l
2025.03.27
2023년 4월 강릉에서 발생한 산불로 산뿐만 아니라 120여 채의 건물까지 소실됐다. 타버린 산은 여러 사람들의 나무 심기를 통해 복원된다. 연합뉴스 제공 산불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엔 모든 것을 내어주고 검게 타버린 산과 그곳을 터전 삼았던 인간들이 남는다. 남겨진 이들은 멈추지 않는다. 다시 ... ...
3000명에 1명 겪는 '척추이분증' 원인 유전자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척추이분증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후 태아의 초기 발달 과정에서 척추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선천성 질환이다. 척추가 벌어진 틈으로 신경과 뇌척수막, 뇌척수액 등이 튀어나와 주머니 같은 형태를 만든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척추이분증은 선천적으로 태아의 척추가 제대로 ... ...
26일은 '퍼플데이'…"발작 유발 '뇌전증', 좌절할 필요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6
뇌전증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해 만성화된 질환이다. 3월 26일은 뇌전증 인식 개선의 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3월 26일은 뇌전증 인식 개선의 날인 ‘퍼플데이(Purple Day)’다. 2008년 뇌전증을 앓던 캐나다 소녀가 뇌전증의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 ...
12·3 계엄 그후 '명령에 따랐을 뿐?'…책임감·죄책감이 사라질 때
과학동아
l
2025.03.22
유대인 학살(홀로코스트)을 주도한 핵심 인물 아돌프 아이히만은 혹시 있을지 모르는 공격을 피하기 위해 방탄유리 상자 내부에서 재판받았다. Israeli GPO photographer 제공 "Befehl ist Befehl(명령은 명령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군사재판에 불려 온 나치 독일 전쟁 지도자들은 이렇게 말했다. 명 ... ...
[동물do감] 짝짓기 전에 암컷 '독'으로 마비시키는 문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파란고리문어. 위키미디어 제공 수컷 문어가 암컷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짝짓기 전에 암컷에 독을 주입해 마비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호주 퀸즐랜드대 연구팀은 파란 고리 문어(Hapalochlaena fasciata)가 짝짓기 전에 암컷을 물어 독을 주입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0일(현지시간) ... ...
차세대 이차전지 핵심 소재, 남극 홍조류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홍조류 커디에아 라코빗자에.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구소는 윤의중 생명과학연구본부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꼽히는 리튬-황 전지 개발의 핵심 소재 후보물질을 남극에서 찾았다고 13일 밝혔다. 리튬-황 전지는 이론적으로 배터리 용량이 크고 작은 공간에 더 많은 에너지를 ... ...
생존율 낮은 췌장암, 치료 걸림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3
췌장암의 치료 저항성을 높이는 원인으로 'ecDNA'가 지목됐다. 췌장암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년 생존율이 15%에 불과한 췌장암은 사망률이 높은 대표적인 암이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어렵다는 의미다. 의학자들이 췌장암세포의 치료 저항성을 강화하는 새로운 요인으로 'ecDNA(염색 ... ...
토성 위성 128개 추가돼 총 274개…위성 수 1위 행성 타이틀 '굳히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3.12
미국과 유럽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가 2005년 5월에 촬영한 토성. NASA/JPL 제공 지구의 달처럼 토성 주위를 도는 위성이 128개 추가됐다. 이로써 토성 위성은 총 274개로 '태양계 위성 수 1위 행성 타이틀 굳히기에 들어갔다. 그간 1위 자리를 놓고 겨루던 목성(95개)을 큰 차이로 따돌렸다. 국제천문연맹(IAU ... ...
수십만 사망 유발 마약성 진통제 대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마약성 진통제에서 중독 위험을 없앤 화합물 개발에 활용된 마약 대마초.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중독 위험이 없는 마약성 진통제의 신약 후보 화합물이 개발됐다. 마약성 진통제는 강력한 통증 완화 효과를 위해 사용되지만 중독으로 인한 과다복용이 최근 사회적 문제로 ... ...
아스피린, 암 전이 억제 효과 있다…동물 실험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해열제로 잘 알려진 '아스피린'의 암 전이 억제 효과가 확인됐다. 해외에서 유통되는 아스피린 제품. 위키미디어 제공 해열제로 잘 알려진 '아스피린'의 암 전이 억제 효과가 확인됐다.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암 전이의 새로운 면역 억제 메커니즘도 규명됐다. 라울 로시추두리 영국 케임브리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