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죽
4족
양반
뉴스
"
사족
"(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래사장도 거침없다...KAIST 연구진,
사족
보행 로봇 '라이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사족
로봇 '라이보'가 다양한 형태의 지면을 달리고 있다.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모래사장처럼 시시각각 변하는 지형에서도 민첩하게 움직이 ... 로봇개발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인수한 현대자동차가 공장에서 물류를 나르기 위한
사족
보행 로봇을 개발 중이다. KAIST 제공 KAIST 제공 ... ...
초속 70cm 철제 벽면 타고오르는
사족
보행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이동 속도가 현저히 느리거나 다양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없다. 연구팀이 개발한
사족
보행 로봇은 이동 속도를 크게 끌어 올렸다. 특별한 ‘자석발’이 비결이다. 이 자석발은 접착력을 빠르게 끄거나 켤 수 있으면서도 평탄하지 않은 표면에서 높은 접착력을 지닌다. 전자기력을 온-오프할 수 있는 ... ...
싱가포르, 노동력 부족에 로봇 도입 가속
연합뉴스
l
2022.05.30
실제 싱가포르 현지 건설회사 개몬의 공사 현장에선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가 만든
사족
보행로봇 '스폿(Spot)'이 진흙과 자갈 부분의 공사 진행 상황을 체크했다고 통신은 소개했다. 이 기업의 마이클 오코넬 전무는 스폿을 사용해보니 이전에 2명이 했던 일을 1명이 할 수 있었다면서 현장 인력 ... ...
3m 높이에서 떨어져도 고양이처럼 사뿐히 내려앉는 네발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22
사족
보행 로봇이다. 키 30cm, 무게 9kg이며 최고 초속 3.7m로 달린다. 지금까지 개발된
사족
보행 로봇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높은 데서 떨어질 때는 제대로 착지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노터데임대 연구팀은 로봇이 안전하게 착지하려면 다리를 휘둘러 고양이처럼 공중에서 회전해야 ... ...
고양이의 ‘일타쌍피’ 생존 전략일까…기분 좋고, 모기 쫓고
2021.01.21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GIB 제공 고양이는 개박하로 불리는 캣닙(catnip)에
사족
을 못쓴다. 캣닙 주머니를 던져주면 마치 마약에 취한듯 부비대고 구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는 개다래나무에도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 일본 연구진이 그 이유를 알아내 ... ...
'베이조스 애완견' 로봇개 스폿, 미국서 9000만원에 판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다방면에서 활약해 온 성과를 발판 삼은 출시다.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이달 16일부터
사족
보행 로봇 스폿의 일반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스폿의 가격은 7만 4500달러(약 9050만 원)이다. 테슬라의 고급 세단 ‘모델 S’의 가격인 7만 4990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베이조스 CEO가 2018년 미국 ... ...
지역 산업과 연구기관 만나 AI 시너지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하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는 AI 연구소를 통해 로봇 청소기 회사 ‘룸바’와
사족
보행로봇 기업 ‘보스톤 다이나믹스’를 배출해 세계적 기업으로 키웠다. 한국에서도 대학과 연구소를 지역의 AI 허브로 키우고, 이를 통해 기업을 탄생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할 계획이다. ... ...
암·황반변성 치료 새 전기… 새 혈관 만드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9
4개의 발 모양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YAP/TAZ 전사인자가
사족
을 발달시키는 Cdc42와 MLC2 단백질을 활성화해 세포골격을 조절한다는 사실 역시 처음으로 알아냈다. 고규영 단장은 “황반변성이나 암 등 병적 혈관 신생이 원인이 되는 질병에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신경회로가 부실해져 오히려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생쥐를 포함한
사족
보행 포유류에서 이 회로가 퇴화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포유류의 역사에서 오늘날 원숭이처럼 주로 나무에서 생활하게 적응한 동물에서 이런 손놀림 회로가 진화한 것일까. 흥미롭게도 게놈 염기서열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① 사소한 것에 집착하는 나
2017.03.26
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만에 하나 오해하시는 분이 있을까 걱정되어 ‘강박적’으로
사족
을 덧붙입니다.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 전문의.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이대부속병원 전공의 및 서울대병원 정신과 임상강사로 일했다.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장 및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