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내기
구분
구별
뉴스
"
선별
"(으)로 총 1,747건 검색되었습니다.
[재생의료 최전선]⑦ 세포 다루는 기술로 노화 정복까지 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큰 기술적 차별점은 무엇인가. “SMUP-Cell은 단순한 배양기술이 아니다. 고효능 세포를
선별
해 배양하고 세포 내에 축적된 치료 능력을 유지한 채로 완제품까지 연결하는 전주기 기술이다. 이 플랫폼을 통해 한정된 자원에서 더 높은 치료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고 본다.” Q. 메디포스트가 제대혈 ... ...
질문이 깊어지면 탐구가 시작된다…'과학동아AiR'로 탐구·발명·논문 작성 도전한 학생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관점을 비교·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출처가 명확한 기사 기반 정보를 통해 자료를
선별
할 수 있었고 특히 한국어로 된 과학 콘텐츠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용했어요." 이 학생은 "AI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과학동아AiR뿐 아니라 다양한 AI를 활용해 연구의 질과 속도를 높일 수 ... ...
암세포 항암제 내성 없앤다…당뇨병 치료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유전자, 두 약물 내성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SLC1A5 유전자가
선별
됐다. 실제 실험에서
선별
된 유전자를 억제한 결과 내성 암세포가 항암제에 다시 반응했다. 같은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유방암 세포에도 같은 유전자를 억제하자 항암제 반응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식 ... ...
수학과 생명과학 융합해 세포 데이터 분석 30배 빨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실제 및 모의 scRNA-seq 데이터 48개에 scICE를 적용했다. scICE는 신뢰할 수 있는 결과만을
선별
해 시간과 연산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였다. 기존 방법으로 분석한 클러스터링 결과물의 약 3분의 2는 통계적으로 불안정해 신뢰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됐다. scICE는 일반적인 클러스터링으로는 ... ...
암세포만 '반짝'…형광빛으로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SLY는 암세포 표면에 있는 글라이칸을 선택적으로 인식해 간암 조직을 세포 수준에서
선별
할 수 있는 최초의 형광 프로브”라며 “이번 연구는 글라이칸 기반 암 진단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doi.org/10.1021/jacs.5c0302 ... ...
[과기원NOW] KAIST, AI로 '이산화탄소 포집' 유망 소재 찾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공동 연구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합한 금속-유기 구조체(MOF)를 빠르고 정확하게
선별
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반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은 MOF와 이산화탄소, 물 사이 상호작용을 정밀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로 MOF 소재 흡착 물성을 ... ...
간단한 혈액검사로 알츠하이머 인지 저하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인지기능 저하 위험군을
선별
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맞춤 치료 대상자
선별
이나 치료 개입 시기를 조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간 인슐린 저항성이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보고됐지만 인지기능 저하 속도와의 관계는 명확히 규명되지 ... ...
[과기원NOW] UNIST, 코로나부터 알코올성 간질환까지 치료하는 '억제제' 개발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억제제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인공지능(AI) 기반 가상 스크리닝을 통해 후보물질을
선별
하고 세포 실험과 동물모델 실험으로 효과를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앞서 ZBP1 개발 연구 성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사이언스 면역학'에 발표했다 ... ...
뇌졸중 원인 심방세동 유병률 10년 새 2배 증가…고령층 증가로 ‘빨간불’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80세 이상 고령층의 유병률은 13%에 달했다. 학계는 국가건강검진과 같은 적극적인 질환
선별
검사를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한부정맥학회(이하 부정맥학회)는 20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서울에서 개최된 ‘2025 정기국제학술대회(KHRS 2025)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심방세동 ... ...
심방세동, ‘피 한 방울’로 예측한다…AI 예측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못한 채 방치되기 쉽다.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위험도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고위험군을
선별
해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는 정밀의료 전략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약 6만 3000명의 영국 바이오뱅크 데이터를 대상으로 혈액 속 단백질과 심방세동 발생 여부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심방세동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