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트
셋트
셑트
세개
set
셑
뉴스
"
셋
"(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건설연, 스마트건설 창업 아이디어 발굴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위
셋
)과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KIRD)이 10일 위
셋
서울 본원에서 과학기술인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날 여성과학기술인 역량 강화 프로그램 공동 기획 및 운영, 여성과학기술인 대상 데이터 기반 연구 협력 및 ... ...
수술 시뮬레이션 정확도 높인다…손-물체 상호작용 복원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증류 방식(SDS)까지 적용해 영상에 보이지 않는 물체의 뒷면까지 복원했다. 국제 데이터
셋
을 활용한 실험 결과 BIGS는 손의 자세, 물체의 형상, 두 손과 물체 간의 접촉 정보 복원은 물론 화면을 재현하는 렌더링 품질에서도 기존 기술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연구를 이끈 백승렬 교수는 “이번 ... ...
[육아X청년과학자]① '복지 사각지대' 대학원생·포닥…"연구 포기, 인력 이탈"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육아로 휴학하는 석·박사 과정 학생에게 최대 1년간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위
셋
은 올해 4대 과기원 소속 만 8세 이하 자녀를 둔 대학원생 및 박사후 연구원을 대상으로 갑작스러운 돌봄이 필요한 상황을 돕기 위해 '2025년 과학기술인 긴급돌봄 바우처 지원사업'을 시범 운영 중이다. 총 180만원 ... ...
X레이로 밝혀낸 기원전 그리스 철학서…베수비오 화산재 속 '필로데모스' 저작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07
훈련시켰다. 잉크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을 하나하나 손으로 표시하면서 데이터
셋
을 구축했고 AI가 잉크의 특징을 자동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학습된 AI는 탄화된 종이 속에서 사람이 식별하지 못하는 잉크의 흔적을 추출해냈다. 두루마리의 제목과 저자 정보가 또렷한 문자 이미지를 ... ...
AI·합성생물학으로 바이오 혁신 가속…"세계 최대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4.30
스테이션(K-BDS)에 1000만 건의 민관 데이터를 연계하고 표준화된 고부가가치 데이터
셋
개발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 데이터 ‘생산→기탁⋅등록→공유⋅연계→활용’ 전주기의 체계적 지원을 위한 '(가칭)바이오데이터 지원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오-AI 융합인재 ... ...
[표지로 읽는 과학] 1㎣ 생쥐 뇌에 담긴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2
생물에 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계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
셋
은 학계에 모두 공개(Open-access) 형태로 제공된다.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8790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MICrONS 컨소시엄이 확인한 12만 개 이상의 뇌세포 중 일부인 약 1000개의 뇌세포를 나타낸 이미지. 뇌세포의 실제 뇌 활동을 기록했다는 사실을 상징적 ... 생물에 뇌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계도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표된 데이터
셋
은 학계에 모두 공개(Open-access) 형태로 제공된다 ... ...
서버 안 올려도 셀카를 지브리풍으로…사생활 보호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4.09
방식보다 통신량은 적으면서 이미지 생성 품질은 높다는 점도 확인됐다. MNIST 데이터
셋
을 이용했을 땐 지브리풍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퓨전 모델(이미지 생성 AI)과도 호환성을 보였다. 최근 챗GPT로 셀카를 지브리풍으로 바꾸는 이미지 생성이 유행하고 있는데 사진을 서버에 올려야 한다는 ... ...
노화 관절, 젊은 관절로 회복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연구팀은 연골조직 내 유전자 시퀀싱 데이터
셋
을 이용해 연골세포 노화가 진행된 연골조직에서 ZMIZ1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ZMIZ1 단백질이 'GATA4 단백질'와 결합함으로써 퇴행성관절염의 발병을 가속화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GATA4 ... ...
뇌종양 등급 95% 정확도로 예측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3.17
따른 것으로 최신 진단 기준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외부 검증용 데이터
셋
(TCGA, UCSF 등)을 활용해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GlioMT는 기존 합성곱신경망(CNN)이나 비주얼 트랜스포머 기반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했다. 악성 뇌종양의 일종인 ‘성인형 확산성 교모세포종’의 분자 아형과 종양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