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수신자"(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브란스병원·현대중공업·해군3함대가 썼다…양자암호통신 누가 쓰나 했더니동아사이언스 l2021.03.09
- 사업자를 선정하고, 각각 45억 원, 73억 원 규모의 예산을 지원한다. 지난해 송진자와 수신자가 비밀키를 나눠 갖는 양자키분배(QKD) 방식의 양자암호통신을 이용한 통신 네트워크 기술을 구축했다면, 올해는 얌자암호키를 100km까지 전송하고, 이기종 간 양자키 교환기술을 시험하는 등 양자암호통신 ... ...
- 표준硏-국보硏, 20km 구간에서 국내 첫 양자직접통신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1.03.03
- 시연할 때 광자 한 쌍(2개)을 이용해 비트(bit) 하나를 보냈다”며 “인증된 수신자가 아니면 풀 수 없는 방식으로 정보를 인코딩해서 보내기 때문에 해킹에서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양자직접통신 기술은 향후 KT, SK텔레콤 등 산업계가 양자키분배 방식의 양자암호통신을 ... ...
- 코로나19 전화출입명부 14대표번호 일반기업도 쓴다동아사이언스 l2021.01.17
- 9 출입명부용 14대표번호를 이용하려는 기업 등은 통신사에 가입 신청할 수 있으며 수신자부담으로 운영된다. 원하는 경우 기업과 기관의 대표전화번호로 활용 가능하다 ... ...
- 中, 하늘과 땅 4600km 걸쳐 양자암호통신 성공..."기술 집대성" 평가동아사이언스 l2021.01.07
- 여러 상태가 중첩돼 얽혀 있는 양자 상태의 광자에 정보를 담아 전송한다. 이때 송신자와 수신자가 안전하게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비밀키를 사용하고, 외부 해킹 걱정 없이 비밀키를 나눠 갖도록 양자키분배(QKD) 방식을 이용한다. 판 교수팀도 양자키분배 방식을 썼다.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 ...
- 14로 시작하는 6자리 전화번호로 출입명부 작성 대체한다동아사이언스 l2020.11.25
- 방문 일시 정보가 기록되는 원리다. 14로 시작하는 번호는 일반 시내 전화번호와 달리 수신자 부담으로, 이용자는 무료로 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취약계층이 자주 방문하는 공공청사,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전통시장 등 다중이용시설의 출입명부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과기정통부에 ... ...
- 해외 동물질병 발생 정보, 이제 카카오톡으로 받는다연합뉴스 l2020.11.05
- 제공 방식을 카카오톡 채널로 전환하기로 했다. 카카오톡 채널을 활용하면 정보 수신자가 자발적으로 채널을 추가·삭제할 수 있고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긴급보고, 발생지도 등 상세 내용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카카오톡을 이용한 메시지 단가가 기존 문자메시지 전송 단가보다 ... ...
- 日도시바, '도청·해킹 불가'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개시연합뉴스 l2020.10.19
- 필요한 '암호 키'로 빛의 입자인 광자(光子)를 활용하는 통신 기술이다. 정보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한 데이터와 함께 암호화한 키(열쇠)를 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해 제3자가 무단으로 정보를 읽으려고 할 경우 광자의 상태가 바뀌어 키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현재의 기술로는 가장 안전성이 ... ...
- 中, 서울-도쿄 거리 위성 양자암호통신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0.06.18
- 바꾸면 다른 쪽 역시 편광이 바뀌는 식이다. 이런 특성을 복잡하게 조합하면 송신자와 수신자가 외부 해킹 걱정 없이 암호키를 안전하게 주고받는 게 가능해진다. ‘양자키분배’라고 하는 이 과정이 양자암호통신의 핵심 절차(프로토콜)다. 양자키분배가 가능해지려면 우선 얽힌 광자를 만들어야 ... ...
- 일본·태국서도 '중국 폐렴' 환자 발생…질본, 대응 강화연합뉴스 l2020.01.17
- 가 가능하다. 또 의료기관에서는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는 환자가 방문하면 건강보험수신자조회 및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를 이용해 중국 우한시 방문 여부를 확인하고 신속하게 신고하도록 했다. 이밖에 대한감염학회,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와 회의를 통해 긴밀히 협력해 대응하기로 ... ...
- 국가 양자암호 시험망 첫 개통동아사이언스 l2019.12.20
- 송신자와 수신자에게만 나눠주는 기술이다. 비밀번호는 일회성 난수표인데, 이 정보를 송수신자에게 나눠줄 때 양자정보를 이용한다. 양자정보는 중간에 관측을 하면 정보가 바뀌기 때문에 해킹이나 도청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양자통신망은 이렇게 양자키분배 기술을 적용해 암호화된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