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철사
전선
철사줄
와이어로프
로프
wire
뉴스
"
와이어
"(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위 넘고 18cm 높이 계단 오르는 말랑한 트랜스포머 바퀴
동아사이언스
l
2024.09.02
간 인력이 커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며 안정적인 원형을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와이어
스포크 구조가 느슨해지는 경우 낮은 강성으로 변화한다. 일반 주행 시에는 단단한 원형의 바퀴로 작동하다가 장애물을 넘을 때는 바퀴가 말랑해져서 장애물의 높낮이나 모양에 따라 휠을 자유롭게 ... ...
햇빛에 내놓으면 스마트폰 충전된다…'투명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20
7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불투명한 금속
와이어
없이 단위 셀 사이의 연결 부위가 보이지 않도록 소자 간 간격을 없앤 '후면전극형' 디자인을 설계했다. 태양전지의 전기접점 등 모든 구성 요소를 후면에 배치해 시각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투명한 특성을 ... ...
중증 뇌전증 환자에 세계 최초 뇌내 이식술…"발작 80%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신경을 자극하기 위한 두 개의 전극을 삽입했다. 이어 1mm 미만의 오차로 배치해야 하는
와이어
를 신경 자극기에 연결했다. 가로 세로 3.5cm, 두께 0.6cm의 이 장치는 나사를 이용해 환자의 두개골에 고정됐다. 이식된 신경 자극기는 환자의 뇌에서 발작이 일어나는 전기 신호를 차단하기 위해 가벼운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산란시켜 내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인 폴리메틸펜텐(PMP)과 단열 능력이 우수한 은 나노
와이어
(AgNW)를 소재로 사용했다. 이렇게 개발한 섬유로 만든 의복은 사람에게 닿는 열에너지를 크게 줄였다. 기존 시중에서 유통되는 냉각 기능을 갖는 의복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 ...
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의학 실험…보령 '2024 HIS챌린지'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우주 실험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는 인튜이티브머신스, 액시엄스페이스, 레드
와이어
등 다양한 우주기업과 투자자들이 함께 협력한다. 인튜이티브머신스는 지난 2월 민간 최초로 무인 탐사선을 달에 보낸 기업이다. 최근 NASA가 선정한 달 탐사 차량 제작 후보 기업으로도 뽑혔다. 챌린지에 ... ...
기도 이물질, 부작용 없이 제거하는 내시경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조절 기능을 추가했다. 내시경 겸자에도 관절을 부착하고 관절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와이어
를 함께 설치했다. 미니 돼지를 활용한 임상실험에서 개선된 내시경 카메라는 자유롭게 굴곡과 직진, 회전하며 이물질 위치에 도달해 이물질을 쉽게 제거했다. 또 발로 조작할 수 있는 풋 페달 장치를 ...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2
외력을 버티는 힘인 응력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실리콘과 게르마늄으로 만든
와이어
형태의 반도체를 제작해 스마트 섬유에 삽입했다. 여기에 열가소성을 가진 폴리카보네이트를 덧씌웠다. 열가소성은 열을 가할 때마다 부드럽게 변하는 성질이다. 연구팀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스마트 ... ...
[과기원NOW] KAIST, 이브자리와 수면 과학 연구 협력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24
주력할 예정이다. ■ 포스텍은 박경덕 물리학과 교수가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금 나노
와이어
기반의 탐침증강 공진분광 시스템을 자체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시스템을 활용해 엑시톤과 트라이온의 상호변환을 능동제어하고 실시간 발광특성 분석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 ...
[과기원NOW] KAIST, 국제백신연구소(IVI)와 백신연구 업무협약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3
유도해 포논의 움직임을 방해한다. 실험 결과 이 공정으로 표면이 가공된 실리콘 나노
와이어
는 기존 벌크 실리콘 대비 열전도도가 약 30분의 1로 감소했다. 열전 성능은 약 300배 향상됐다. 기존 반도체 공정으로 실리콘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면적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열전 반도체 대량생산과 ... ...
수술 중 조직검사 '고해상도 현미경'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0
투명한 센서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압전소자로, 은 나노
와이어
를 전극으로 활용해 자외선 영역에서도 투명한 센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를 광음향현미경에 적용한 결과, 현미경의 개구수는 0.38로 향상됐다. 측면 해상도도 0.47±0.03마이크로미터(μm‧0.00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