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원기"(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 없이 신선한 향초들이 아름답게 피어 있고, 꽃잎이 분분히 떨어졌다. - 도연명, ‘도화원기(桃花源記)’에서 요즘은 하우스 재배에 수입산까지 가세해 사시사철 다양한 과일이 넘쳐나지만 여전히 필자에게 최고의 과일은 여름 한 철 맛볼 수 있는 복숭아다. 무더위가 한창일 때 잘 익은 복숭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만든다. 한국도 1983년부터 진공 상태에서의 헬륨네온 레이저 파장을 이용해 1미터 표준원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파리6대학 제공 1미터의 정의는 1983년 다시 갱신된다. 이번에는 광속을 기준으로 정의가 바뀌었다. 빛은 진공 속에서 초속 약 30만 킬로미터, 즉 약 3억 미터 진행한다. 정확한 값은 29 ... ...
- 20일 질량·전류·온도·물질량 정의 한층 더 명확해진다2019.05.19
- 순 없다. 원기가 상수로 바뀌는 것일 뿐 표준 기술은 그대로기 때문이다. 질량의 경우 원기를 기반으로 작은 무게추를 만들어 산업계에 보급해 표준으로 활용하고 있는데 이 시스템이 바로 바뀌지는 않는 것이다. 다만 미래에는 상수를 바로 표준으로 활용할 전망이다. 박 본부장은 “미래에 기술이 ...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동아사이언스 l2018.12.19
- ‘미터협약’ 이후 143년 만에 7개의 기본단위 중 4개의 정의가 한 번에 달라진다. 1㎏은 원기로 재지 않고 양자 역학의 기본 상수인 플랑크 상수를 이용해 재정의하게 됐다. 키블저울이라는 측정기기를 통해 얻은 플랑크 상수의 단위는 J·s다. 이는 ㎏·㎡/s로도 표현할 수 있는데, 미터(m)와 초(s)를 ... ...
- 美기술표준원, 3억년에 1초 오차 ‘원자시계’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8.11.29
- 91억9263만1770번 진동하는 시간이다. 이보다 100배 이상 정확한 시계가 등장하며 표준원기를 교체하게 되는데, 이터븀 원자시계는 10만배 이상 정밀해 기준을 충족하고 남을 것으로 보인다. 차세대 원자시계가 완성되면 중력에 따른 시공간 왜곡 현상, 암흑물질 연구 등 정밀측정이 필요한 다양한 ... ...
- [기본단위 재정의] 4개 기본단위는 왜 새로운 기준이 필요했나2018.11.18
- 있으면 이 원기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모든 질량 값이 부정확해지기 때문이다. 각국은 원기의 질량 대신 변하지 않는 물리상수이자 양자역학의 기본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 상수(h)’로 질량을 정의하기로 합의했다. 플랑크 상수는 ‘기계적인 일률과 전기적인 일률은 같다’는 원리를 이용한 ... ...
- [기본단위 재정의] 의약업계 손익 가르는 ‘㎏’ 정의 바뀐다동아사이언스 l2018.11.17
- 있으면 이 원기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모든 질량 값이 부정확해지기 때문이다. 각국은 원기의 질량 대신 변하지 않는 물리상수이자 양자역학의 기본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 상수(h)’로 질량을 정의하기로 합의했다. 플랑크 상수는 ‘기계적인 일률과 전기적인 일률은 같다’는 원리를 이용한 ... ...
- “불변의 단위 시대...생명공학, 초고속통신 혁신 가능할 것”과학동아 l2018.11.16
- kg 원기는 현재까지 프랑스 국제도량형국(BIPM) 지하 비밀금고에 보관돼 있다. 하지만 kg 원기는 금속이기 때문에 공기에 닿아 산화되거나 이물질이 묻어 질량이 미세하게 바뀔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지난 100년간 머리카락 한 가닥 무게 정도인 약 50㎍(마이크로그램)만큼 줄어든 것으로 ... ...
- 53개국이 찬성했다 “도량형 바꾸자”2018.11.16
- 변화를 겪어 근본적인 단위 기준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예를 들어 킬로그램원기의 경우 100년 동안 0.05mg이 변했는데, 이는 현재의 정밀 과학 연구 분위기에서는 허용하기 힘든 오차다. 이런 고민에 따라, 그 동안 측정 과학자들은 변하지 않는 우주의 물리값(상수)을 이용해 기본 단위를 ... ...
- 생활 속 4개 측정 기본단위 기준, 143년 만에 확 바뀐다2018.11.16
- 산화 등 화학반응을 겪거나, 표면에 이물질이 쌓이면서 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킬로그램원기의 경우 100년 동안 0.05mg이 변했다. 1억분의 5가 변한 미세한 변화지만, 최근 정밀과학의 발전으로 이런 미세한 차이도 무시할 수 없게 됐다. 측정 과학자들은 변하지 않는 우주의 물리값(상수)을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