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228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전력으로 지하철 터널 초미세먼지 제거…"국민 편익 위한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한국기계연구원 도시환경연구실 책임연구원이 기계연 무필터 공기정화 시스템 앞에서
원리
를 설명하고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국내 연구팀이 지하철역 터널에서 초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무오존·무필터 공기정화 시스템 실증 시험을 마쳤다. 기존 대형 무필터 공기정화 시스템의 문제였던 ... ...
빛의 미세한 변화, 메타표면 이용해 실시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중심 위치가 미세하게 이동하는 현상이다. 초소형 광학 소자 및 정밀 측정 기술의 핵심
원리
로 빔 분할기나 필터 등 다양한 광학 장치에 활용된다. 기존에는 물체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편광판에 통과시킨 후 카메라로 광스핀홀 효과 이미지를 얻었다. 이 방법은 특정 편광만 선택적으로 ... ...
차세대 원자로 SFR 핵연료 피복관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코팅층에서 떨어져 나가는 현상을 이용해 순수한 크롬층을 균일하게 코팅하는
원리
다. 연구팀은 개발된 기술로 2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두께로 균일한 크롬 코팅층을 만들고 코팅층의 두께 오차를 기존 방식의 3분의 1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원자력연이 개발한 펄스-역전류 방식 핵연료 ... ...
30대 中 여성 수학자, '필즈상 수상감'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작아진다. 주차장에서 차를 앞뒤로 이동시키면서 좁은 주차공간에 주차하는 것과 같은
원리
다. 카케야가 문제를 제기한지 2년 뒤인 1919년 러시아-영국 수학자 아브람 베지코비치는 바늘을 한 바퀴 돌릴 때 바늘이 지나는 최소 면적값이 0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수학적으로 극한값을 증명한 ... ...
인공태양 원료 리튬-6 친환경 생산 길 열어...핵융합 연구 판도 흔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1
붙잡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리튬-7은 더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원리
를 '스프링'에 비유하며 "리튬-7는 더 무겁기 때문에 쉽게 튕겨져 나가지만 리튬-6는 더 가볍기 때문에 제타-바나듐과 단단히 결합한다"고 설명했다. 또 리튬 이온이 제타-바나듐에 흡착될 때는 색상도 ... ...
中, '미니 위성' 이용해 1만2900km 거리서 양자통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대학교 캠퍼스의 모습이 담겼다. 전송 실험에 사용된 QKD 기술은 양자역학의 불확정성
원리
를 활용한 설계된 첨단 보안 기술이다. 송신자는 레이저 펄스를 각각 0과 1의 양자 중첩 상태로 설정해 전송한다. 전송된 레이저 펄스를 수산자와 송신자가 동일한 기준으로 측정된 결과를 비교해 고유한 ... ...
방사선 이용해 오염물질 정화하는 미생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박테리아를 이용한다. 박테리아 배양액에 오염물질을 넣으면 락카아제가 이를 분해하는
원리
다. 기존에는 락카아제 자체를 개량해 정화 효율을 높였지만 개발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됐다. 연구팀은 인천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함께 구리(Cu) 이온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 ...
유리창에 투명필름 붙여 전파 투과율↑…비싼 중계기 없이 실내통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전파가 안테나에 조사되면 패턴의 형상에 따라 전파 투과율과 신호 전파 각도가 커지는
원리
다. ETRI에서 개발한 지능형 재구성 안테나 기술(RIS) 개요. 유리창에 붙인 필름형 안테나에 전파가 조사되면 기존 유리창보다 투과율이 향상되고 전파 각도도 넓어진다. ETRI 제공 개발된 기술은 기존 RIS ... ...
탄소 흡수력 높인 미생물 나올까…광합성 미생물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김 센터장은 “연구는 전 세계 최초로 유전자 교정 대상 생물의 핵 내부 물질 전달
원리
를 활용하여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광합성 미생물의 낮은 유전자 교정 효율이라는 큰 장애물을 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로 광합성 미생물 기반 탄소저감 기술의 실현을 앞당기는데 중추적인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양극재, 폭발 위험 잡는 설계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전이금속 A, B와 산소의 전자 공유도를 변화시켜 산소가 전자를 잃고 산화되는 것을 막는
원리
다. 결과적으로 산소 기체 발생이 없어진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과리튬 양극재에 포함된 루테늄(Ru) 일부를 전기음성도가 낮은 니켈(Ni)로 치환하면 산소 기체 발생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