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
자가위와 도핑검사가 만났다…극소량 혈액만으로 도핑 빠르게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공정성을 지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해법을 제시한 것이다"며 “향후 정밀의료와
유전
자 진단 기술의 핵심 기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DOI: https://doi.org/10.1126/sciadv.adv7234 ... ...
‘먹방' 보면 과식, 쥐 실험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열리는 내분비학회 연례 학술대회(ENDO 2025)에서 발표했다. 연구팀은
유전
적으로 유사한 14마리의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눴다. 그룹 A는 금식시키거나 식사를 한지 시간이 지난 '배고픈' 생쥐 그룹, 그룹 B는 '배부른' 생쥐 그룹이다. 두 그룹은 서로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접촉은 못하게 분리했다. ... ...
식물도 상처 나면 딱지 만들어 회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통해 이뤄진다는 점도 함께 밝혔다. 전사인자는
유전
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특정
유전
자가 언제, 얼마나 활성화될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다. 이번 연구는 잎의 손상 회복 메커니즘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연구팀은 “식물이 단순히 상처를 봉합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 ...
'DNA 복구'
유전
자 망가뜨리는 변이 발견…암 위험 1.4배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다른
유전
자에서도 유사한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며 이는
유전
체 기반 정밀의료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실험실서 만든 치즈, 3~4년 내 유럽 식탁에 오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우유에서 단백질 ‘카제인’을 추출해 발효시켜 만든다. 베터 데어리는 효모의
유전
자를 교정해 알코올 대신 카제인을 생성하도록 만들어 우유 없이 카제인을 생산하고 있다. 카제인을 발효한 뒤 치즈 생산에 필요한 식물성 지방, 미네랄 성분 등을 혼합해 치즈의 맛과 식감을 낸다. 베터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발현될 때마다 빛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연구 결과 원래라면 항문에서 발현돼야 하는
유전
자들이 제노투르벨라 보키의 경우에선 정자 분비선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했어요.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발견은 제노투르벨라 보키의 정자 분비선과 항문 사이에 깊은 진화적 연관성이 있음을 ... ...
생쥐 전체 신경 지도 완성…초고속 3D이미징으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여러 차례 반복했다. 일부 생쥐는 특정 뉴런에서 형광 단백질이 스스로 만들어지도록
유전
적으로 조작했다. 일부 생쥐에게는 교감신경계의 특정 단백질을 찾아가는 항체에 형광 물질을 붙여 해당 신경을 밝히는 면역 표지 방법을 사용했다. 또 다른 실험에서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뇌에서 가슴과 ... ...
울릉도서 새 한타바이러스 발견…제주바이러스와 다른
유전
형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이번 연구를 통해 제주바이러스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한타바이러스를 발견하고
유전
적 특성과 계통을 체계적으로 규명했다”고 말했다. 이어 “울릉바이러스의 잠재적 병원성과 감염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향후 병원성 연구와 역학·분자 감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 ...
[재생의료 최전선]⑦ 세포 다루는 기술로 노화 정복까지 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결과 노화 지표로 알려진 'SA-β-gal' 세포 수가 유의하게 감소했다. 세포 손상 및 노화 관련
유전
자 'p16', 'p21', 'γH2AX'의 발현 수준도 현저히 낮아졌다. 항산화 효소인 카탈라아제 농도는 성인 혈장 대비 약 3배 이상 높았다. 제대혈 성분이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해 노화 진행을 억제하는 기전을 ... ...
피로해진 반도체 부품 회복시키는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등 첨단 기술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장식 교수는 “이번 성과는 강
유전
체 소재를 이용한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학부생이 주도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는 점에서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doi.org/10.1109/JEDS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