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자
유전단위
인자
뉴스
"
유전인자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mRNA 백신 작동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장을 맡고 있는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가 지난 2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연구단의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과 관련해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1년여 만에 등장해 ... ...
사람에게 첫 이식된 돼지 간이 담즙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8
뇌사자에 대한 간 이종이식 실험에 사용된 유전자 조작을 거친 돼지. 네이처/Lin Wang et al. 제공 이식용 장기 부족의 해결책으로 여겨지는 이종 이식이 신장과 심장에 이어 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린왕 중국 제4군의대 교수 연구팀은 유전자를 교정한 돼지의 간을 뇌사자에게 이식한 세계 최초 사례 ... ...
노화 관절, 젊은 관절로 회복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국내 연구진이 노화된 관절을 젊은 관절로 회복시킬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노화된 관절을 젊은 관절로 회복시킬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한국연구재단은 남지호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석박통합과정생과 양시영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교수, 윤성일 중앙 ... ...
조기 발견 어려운 '담도암' 발생 과정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담도암은 담도와 쓸개에 발생하는 암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담도와 쓸개에 발생하는 담도암의 발병 과정을 정밀하게 추적했다. 담도암의 조기 진단율과 표적치료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영년, 김상우 연세대 의대 교수 연구팀이 담도암의 전암 ... ...
'생선 아가미' 유전자가 사람 귀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5.03.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소리를 모아 듣기 위해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속에서 숨을 쉬기 위한 물고기의 아가미. 외형과 기능이 전혀 달라 보이는 두 기관이 같은 유전 인자를 공유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이지 크럼프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켁 의대 교수팀은 귀 바깥쪽 구조인 외이와 제브라피쉬 ... ...
DNA와 단백질 만남 장소 싸고 효율적으로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매우 적은 시료를 쓰고도 DNA에 달라붙는 단백질 결합 지점을 정확하게 분리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사진은 체내에 분포한 단백질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매우 적은 시료를 쓰고도 DNA와 단백질의 결합 지점을 정확하게 포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세균의 병원성 발현 메커니즘을 규명하거 ... ...
'발암성 단백질' 특성 밝혔다…암 성장 제어 신약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2.27
이동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맞춤의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왼쪽)과 구한 박사후연구원(제1저자). 생명연 제공. 췌장암, 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의 주요 유발인자로 알려진 단백질 ‘KRAS'를 표적으로 한 항암제 개발은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KRAS 발현을 ... ...
피 몇 방울로 '폐암 돌연변이'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제1저자인 엘리자베스 마리아 클라리사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연구원이 진단 칩을 살펴보고 있다. UNIST 제공. 혈액 몇 방울만 있으면 폐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암 진단·예후 모니터링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의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반 액체생검 기술로는 찾아내기 어 ... ...
'난치성 전신경화증' 치료 유망 단백질 기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전신경화증에 도움이 되는 단백질 기능을 규명한 연구진. 왼쪽부터 조미라 가톨릭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 박진실 가톨릭류마티스연구센터 박진실 연구교수, 박성환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가톨릭대중앙의료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난지성 질환인 전신경화증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 ... ...
AI가 찾은 약물로 2년째 생존중인 희귀질환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인공지능(AI)을 신약 개발에 활용하는 모습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더 이상의 치료가 불가능해 호스피스 시설에 입소하게 된 희귀질환자가 인공지능(AI)이 찾아낸 기존 시판 약물로 치료 효과를 보며 2년 넘게 생존 중인 사례가 보고됐다. 완전히 회복할 경우 AI 예측 시스템이 인간의 생명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