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비
비론
유비추리
추리
추론
짐작
뉴스
"
유추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IGC2024] "화성에는 왜 자기장 없을까…지구 내부도 아직 제대로 몰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8.27
수 있겠지만 태양계 다른 행성이나 외계행성은 그런 방법을 쓸 수 없다"며 "관측으로
유추
되는 행성의 크기, 밀도와 밀도 분포, 주성분 등 천문학 정보만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해 모델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 ...
화성 바다 행방 찾았다…행성 덮을 만큼 '지하수' 존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8.13
분석해 석유나 천연가스가 있는 유전(油田) 등 지표면 아래에 있는 물질과 상태를
유추
한다. 분석 결과 지표면 아래 11.5~20km 깊이의 다공성 암석층에 지하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에 따르면 지하수의 양은 약 30억 년 전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 과거 화성 바다의 물보다 많았다. 연구팀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각'의 악순환
2024.06.01
겪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게 자신만의 세상에서 벗어나서 나와는 다른 타인의 경험을
유추
하는 능력을 마음 이론이라고 한다. 나와는 다른 저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감정을 느끼며 무엇을 바라고 있는지 알아채는 능력은 원만한 인간관계와 사회생활에 필수적이다. 만약 타인의 마음을 ... ...
바퀴벌레의 세계 정복, '인간 활동' 덕분에 가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웁살라대 교수가 처음으로 독일 바퀴벌레는 유럽에서 유래한 곤충이 아니라는 사실을
유추
했다. 연구팀은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독일 바퀴벌레의 기원을 찾기 위해 게놈 분석을 진행했다. 17개국에서 수집한 281마리의 바퀴벌레 표본에 대한 유전적 유사성을 살핀 ... ...
'다이아 반지' 순간 포착…천문연·NASA 개기일식 관측 자료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가린 달 주변으로 나온 코로나다. 관측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를
유추
할 수 있다. KASI, NASA 공동연구팀 제공 조경석 한국천문연구원 태양우주환경그룹 책임연구원은 "흐린 날씨에도 천문연-NASA 팀은 코로나의 온도와 속도를 결정하는 4개의 필터를 통해 편광, 비편광 영상을 모두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산호초로 보는 엘니뇨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침전된 탄산칼슘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산호초의 성분을 분석해 수온의 변화 과정을
유추
할 수 있다. 미국 텍사스주립대 연구팀은 2019년부터 바누아투의 산호초 군락을 분석해 지구 온도가 낮았던 시기와 높았던 시기에 엘니뇨 현상의 빈도수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 봤다. 그 결과 지구 온도가 ... ...
인간의 이족 보행 단서는 '반고리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1.30
시각화했다. 두개골 내 반고리관의 해부학적인 특성을 분석해 유인원의 이동 방식을
유추
했다. 재구성한 두개골 형태를 기존에 수집한 유인원 두개골 화석과 현존하는 유인원 두개골 형태 등과 비교했다. 연구팀의 분석결과 초기 유인원들이 인류 조상의 이족보행 운동 기술을 공유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키 3m 거대 영장류, 왜 멸종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1.20
중국과학원과 호주 매쿼리대 공동 연구팀이 10일 네이처에 G.블래키의 멸종 시기를
유추
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멸종 원인은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신장이 무려 3m에 이르고 몸무게는 200~300kg이 나갔을 것으로 추정되는 G.블래키는 지구 역사상 가장 큰 ... ...
가장 오래된 '피부 화석' 발견…악어·뱀 피부와 비슷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없다는 점은 이번 발견의 한계점이다. 정확히 어떤 동물의 어떤 신체 부위에 해당하는지
유추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발견된 피부의 구조가 오늘날 새의 깃털이나 포유류 모낭으로 진화된 구조처럼 보이기도 한다"며 "피부 화석이 발견된 근처에 자주 발견되는 화석 등을 기반으로 봤을 때 ... ...
일본 강타 규모 7.6 지진에 국내 지하수 수위도 '출렁'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유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안지반의 안정성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추
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강릉 지하수 관측정은 '공동(空洞)'이 다수 분포돼 있어 해수의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구조다. 공동은 빠른 속도로 물속을 운동하는 물체 표면에 수증기가 생기며 포화 증기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