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털
솜털
뉴스
"
융모
"(으)로 총 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의 생생임신체험記] 생애 첫 임신, 화학적 유산으로 마무리 짓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4
임신 테스트기다. 흔히 ‘임테기’라고 부른다. 길쭉한 플라스틱 케이스 안에 인간 ‘
융모
성 생식선 자극 호르몬(hCGㄹ·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을 검출하는 시험지가 들어 있다. 이 호르몬은 수정란이 착상한 뒤 태반에서 나오는데, 황체(난소에서 성숙한 난자를 배란한 뒤 남은 여포가 변한 것)가 ... ...
사람 腸 모사한 미니칩으로 장염 원인 밝혀내
동아사이언스
l
2018.11.09
먼저 위층에는 죽지 않고 계속 증식하는 세포(암세포)로 만든 장 상피세포를 넣고 키워
융모
모양의 구조까지 갖춘 장 내부 환경을 만들었다. 상피세포는 서로 단단하게 결합돼 아래층에는 혈액에서 분리한 면역세포를 키워 장 외부의 혈관을 흉내 낸 환경을 만들었다. 장을 모사한 장기칩으로 ... ...
알아두면 쓸데있는 고지방·고단백 식사법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백해드 교수팀의 경우는 몸에 좋은 비피도박테리아를 추가로 처리했다. 그 결과 장 속
융모
세포의 수가 증가해 질량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그루위츠 교수는 “두개 논문을 통해 얻은 결론은 하나”라며 “식이섬유를 통해 좋은 장내 미생물이 생활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신체 대사가 원할할 ... ...
[카드뉴스] 일란성 쌍둥이, 어디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16
받는다. 4~8일: 양막은 각각 생기지만
융모
막은 공유하면서 하나의 태반을 갖는다. 8~13일:
융모
막과 양막이 모두 하나. 같은 공간에서 같은 태반을 사용한다. 14일 이후: 샴쌍둥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하나의 막에서 같이 지냈을 경우 영양분과 산소를 어느 한 명이 더 많이 가져가면 덜 받은 쪽의 ... ...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12.05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결합하면서 더 많은 리튬이온을 포획해 배터리 용량이 늘어났다. 연구에 참여한 금속재료과학과 파울 콕슨 교수는 “기존의 배터리의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B단백질 다섯 개로 이뤄진 분자다. B단백질 다섯 개는 도넛 형태로 고리를 이루고 있는데
융모
표면에 있는 복합당지질 분자인 GM1을 인식해 달라붙는다. 그 결과 세포막의 곡률이 바뀌면서 A단백질이 세포 안으로 들어간다. A단백질은 인체의 아데닐사이클라아제라는 효소를 활성화시켜 고리형 ... ...
[Health&Beauty]“한국의 난임 치료 기술 실제로 보니 더욱 놀랍네요”
동아일보
l
2015.12.09
경우 비정상 태아의 출산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산전 진단법은 임신 9∼12주에 하는
융모
막검사, 18∼20주에 하는 양수검사가 있다. 하지만 이상을 발견해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이다. 또 유전질환이 발견될 경우 자연유산하는 경우가 많다. 실패 확률이 더 높은 것이다. 단 착상 전 유전자 ... ...
일란성 쌍둥이, 우린 얼마나 다른가요
2015.11.16
쌍둥이의 80%는 양막 주머니와 태반을 공유하는 ‘단일
융모
막’ 형태다. 하지만 단일
융모
막 쌍둥이의 25%는 태아에서뿐만 아니라 출산 후에도 발육상태가 달라진다. 지금까지 태반을 통해 공급되는 혈류량이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했을 뿐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 ...
쉬지 않고 움직이는 소장, 어떻게 사진 찍을까
2015.10.14
소화하고 흡수하는 등 동물의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소장 내벽에 ‘
융모
’라는 돌기는 영양분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는 동시에 내부에 있는 미세혈관과 암죽관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소장은 쉬지 않고 움직이는 탓에 현재까지 고해상도 촬영에 어려움을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