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고
경화
응축
축합
액화
뉴스
"
응결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제로로 가는 길을 여는 사람들
2021.10.05
증발기로 끌어들이면 냉매가 증발하며 공기의 열을 빼앗아 온도가 내려가며 수증기가
응결
해 물이 된다. 그 결과 차갑고 건조해진 공기를 내보낸다. 직접공기포집는 팬을 돌려 외부 공기(대기)를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물질(흡착제나 용매)이 있는 공간으로 끌어들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 ...
1시간에 담수 1.6kg 생산…효율 90% 해수담수화 장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순수한 물은 증기 상태로 나오고 소금과 같은 염분은 증발 장치에 남는다. 증발한 물을
응결
하면 식수로 쓸 수 있다. 연구팀은 광 증기 증발기가 태양광을 잘 가둘 수 있도록 설계해 빛 흡수량을 최대화했고, 이를 이용해 바닷물의 증발이 잘 일어나게 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장치를 이용하면 태양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사람은 더위를 어디까지 견딜까
2021.07.20
잘 모른다. 사막에서 경험하는 현상이다. 반면 습도가 높으면 공기에서 피부의 땀방울로
응결
하는 물분자(이때 기화열만큼의 열이 더해진다)가 땀방울에서 증발하는 물분자를 상쇄한다. 피부에서는 계속 땀을 분비하므로 땀방울이 커져 액체 상태로 흘러내린다. 땀의 기화열로 인한 냉각 효율이 뚝 ... ...
열대 서태평양에 비 잦아지면서 여름철 동남극 더 추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사실이 규명된 건 처음이다. 매든-줄리언 진동으로 열대 강수 활동이 일어나면 수증기가
응결
하면서 빠져나온 열이 대기를 가열한다. 그 결과 비가 내리는 지역에서는 대기가 상승 운동을 하고, 지표에 저기압이 형성된다. 반면 강수 지역에서 먼 지역에선 대기가 하강 운동을 하고 지표면에 ... ...
올해 5월 기상관측사상 우박 가장 많이 떨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7
등의 조건이 형성될 때 나타난다. 구름 내 빙정이 반복적으로 아래 위로 움직이며 융해와
응결
을 반복하다가 주변의 수적과 충돌하게 된다. 그러면서 빙정과 수적이 서로 들러붙게 되고 무거워지며 지상으로 우박이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국내에서 우박은 늦은 봄과 이른 여름철 사이인 5~6월 가장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글로벌 100대 혁신 기업’ 트로피 수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3
현상과 물방울의 크기를 함께 분석해 이 같은 측정에 성공했다. 이를 이용해 증발과
응결
비율을 조절하면 페인트, 잉크 등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의 자매지인 ‘매터(Matter)’ 1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용암 바다 출렁이고 돌로 된 비 내리는 지옥같은 행성
연합뉴스
l
2020.11.04
K2-141b에서는 광물 증기가 초음속 강풍에 실려 온도가 낮은 밤지역으로 쓸려가 돌로
응결
된 뒤 용암의 바다에 떨어지고 조류를 타고 낮 지역으로 흘러들어 증발하는 순환과정을 겪는다. 다만 이 과정이 불안정하고 속도가 느려 광물 성분이 장기간에 걸쳐 바뀌고 궁극에서 행성 표면과 대기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엄밀히는 증기)의 주성분은 물(수증기)이 아니라 용매인 글리세롤이나 PG로 기체분자가
응결
된 에어로졸(미세한 방울)로 빛을 난반사해 하얗게 보인다. 연합뉴스 제공 전자담배 증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담배 연기와는 달리 기도(airway) 말단의 지질 관련 대사 및 면역 과정이 변화된다 - 매슈 ... ...
병원균 잡는 ‘착한’ 호중구가 담석 유발?
과학동아
l
2019.09.03
‘이뮤니티’ 8월 15일자에 발표했다. 담석은 쓸개즙 성분이 담낭이나 담관 내에서
응결
되거나 침착돼 만들어지는 결정성 구조물로 극심한 통증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가 뿜어내는 DNA와 단백질을 담석 생성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호중구는 체내에서 병원균을 발견하면 ... ...
"미세먼지 씻을 비는 내리지 않았다" 인공강우 사실상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구름을 이루는 작은 수증기 입자들이 서로 잘 뭉쳐 물방울로 떨어지도록 구름씨(
응결
핵)를 뿌려 인공적으로 비가 내리게 하는 것이다. 자연적으로는 작은 얼음 결정이 구름씨 역할을 하는데 인공강우의 경우 요오드화은(AgI)이 이를 대신한다. 기상청은 “기상항공기의 구름물리 측정장비(구름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