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물
자생
뉴스
"
자생식물
"(으)로 총 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세포 활동에 필요한 통기조직 발달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단백질 함량이 높은 개구리밥.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호르몬을 사용해 식물 통기 조직의 형성 과정을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 부양식물인 개구리밥을 사용한 연구에서 통기 조직의 발달 및 발달 조절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이다. 서울대는 이유리·황대희 생명과학부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최근 감귤의 가격이 급등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기반찬이 없으면 밥을 못 먹겠다는 얘기를 들으면 이해가 안 가지만 한편으로는 입맛 취향은 이해의 영역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필 역시 매 끼니 과일을 먹지 않으면 무척이나 아쉽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최근 수개월 사이 식비가 부 ... ...
난치성 질환 치료 천연물, 한 차례 합성으로 수 배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연구를 이끈 한순규 교수(왼쪽), 강규민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오른쪽).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약용식물 '광대싸리' 추출물로 난치성 질환 치료제로 쓰일 수 있는 물질을 간단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한순규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 자생 식물인 광대싸리에 극미량 존재하는 천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가젤속 동물인 '게레눅'의 모습을 실었다. 아프리카 동남부에 서식하는 게레눅은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대표적인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계층이다. 특히 자연 환경에서 식물의 풍부함과 다양성에 큰 영향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우리 농산물’(2023), 캔버스에 유채(8F). 강석기 제공 “당근색이 안 나오네요...” “음... 잠깐 있어봐.” 글도 그렇지만 그림도 소재를 찾는 게 일이다. 연초에 마땅히 그리고 싶은 게 없던 차 주방 창고에 있는 당근이 눈에 들어왔다. 막 캐낸 것처럼 색이 짙고 신선해 보여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 ...
유전자 교정 기술로 밀, 감자 생산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6
유전적 특성을 활용해 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방법을 증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밀, 감자 등 작물이 지닌 유전적 특성을 활용해 식물의 생산성을 높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순주 경상국립대 응용생명과 교수와 김근화 식물생명공학연구소 박사 연구팀이 다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하는 공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7.29
공버섯의 영어 이름은 ‘Cannon ball fungus’. 대포알이라는 뜻으로 포자덩어리를 대포알처럼 발사하는 버섯이다. 박상영 제공 ●별처럼 활짝 피는 공버섯 공버섯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을 땐 흥분이 가라앉질 않았습니다. 세상에 이렇게 신기한 버섯이 있다니! 버섯들이 이렇게 다양하고 신기하게 ... ...
식량위기 해결할 '고성능 작물품종' 연구장 된 우주
동아사이언스
l
2023.06.26
우주 환경에서 콩의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 중인 람혼밍 홍콩중문대 교수. 홍콩중문대 제공 우주 공간이 지구에서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의 장이 되고 있다. 우주 미션에 필요한 특수한 작물 품종 연구도 진행되는 등 우주가 미래 고성능 작물 품종 연구 공간으로 거듭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주 TV에서 의아한 뉴스를 봤다. 급식으로 나온 방울토마토를 먹은 아이들이 구토와 배탈 증상을 보였다는 내용이었다. 증상이 일시적이고 쉽게 회복돼 일반적인 식중독은 아닌 것 같다는 말로 봐서는 병원체 감염은 아닌 것 같았다. 농약 중독일 수도 있겠지만, 방울토마 ... ...
탄소배출 줄이고 더 푸르게...크리스마스 트리의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2.12.23
게티이미지뱅크 이틀 앞으로 다가온 크리스마스 시즌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화려한 장식으로 분위기를 내는 '크리스마스 트리'다. 트리는 크리스마스를 기념해 구상나무나 전나무 등 상록 침엽수를 여러 장식으로 꾸민 것이다. 과학자들은 원예학과 유전학 기술을 적용해 트리를 양식하고 집에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