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2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질병 일으키는 단백질 분해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NEK7의 유비퀴틴화 및 분해를 촉진한다. 유비퀴틴화는 불필요한 단백질에 유비퀴틴이라는
작은
단백질을 붙여 분해하는 과정이다. 샤론 A 타운슨 미국 몬테로사테라퓨틱스 최고기술책임자(CTO) 연구팀은 특정 단백질을 표적 삼아 접착제 및 분해제 기능을 하는 분자를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3일 ... ...
과학의 시대에 부활한 '백신 부정론'
2025.07.05
코로나19 팬데믹 시기까지 이어지며 백신 접종과 집단 면역 형성에 걸림돌이 되었다. ●
작은
의심에서 음모론으로 어떻게 생각하면 제너가 백신을 발명했을 당시에 등장했던 백신 부정론은 나름의 타당한 이유가 있었다. 그 원리도 제대로 밝히지 않은 채 소의 고름을 인체에 주입하다니! 반면 ... ...
[사이언스영상] 코털을 닮은 공기 필터
SEIZE
l
2025.07.05
확대 사진.
작은
입자들이 코털에 엉겨있다. 점액이 흡착력을 높이는 원리를 모방해 새 필터를 개발했다.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코털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미세먼지 필터가 개발됐다. 우상혁 중앙대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6월 18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기존 공기 필터의 단점을 극복한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
과학동아
l
2025.07.05
비행기 내 조종 환경을 똑같이 모사해 비행을 체화하는 과정이죠. 비행은 자칫
작은
실수에도 큰 인명 피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기에 훈련을 숱하게 반복합니다." 비행교육원에서는 이렇게 한국항공대 소속 예비 조종사들의 항공 이론과 모의 비행 등을 교육한다. 경북 울진과 제주의 비행교육원 ... ...
간단하게 '양자 난수' 생성…양자컴퓨터 실용화 앞당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어려운 수준의 무작위성을 구현해냈다. 이 구조에서는 개별적으로 무작위성을 띠는
작은
회로들을 두 개 층만 쌓아도, 전체적으로는 완전한 무작위 회로와 구별이 어려운 수준의 양자 게이트가 만들어진다. 기존에 불가능했던 빠른 무작위화를 구현해 양자 연산의 시간과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줄일 ... ...
[동물do감] 바다거미, '배' 없는 이유는 유전자 증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에 2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매듭 바다거미는 북대서양의 바위 해저에 널리 분포하는
작은
생강 뿌리처럼 생긴 바다거미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바다거미가 복부가 없는 이유는 복부 발달을 조절하는 혹스(Hox) 유전자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혹스 유전자는 성장하는 세포에 ... ...
'먹는 레이저'로 식품·약물 모니터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첨단 광학 소재’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일상에서 요리할 때 쓰는 쿠킹오일의
작은
방울이 레이저로 전환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원자나 분자에 에너지를 공급하면 전자가 낮은 에너지 상태인 ‘바닥 상태’에서 높은 에너지 상태인 ‘여기 상태’로 올라갔다가 다시 바닥 상태로 ... ...
[과기원NOW] 버려진 일회용 마스크, 땅 속 생명까지 위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전북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손창희 미국 코네티컷대 박사후연구원과 함께 머리카락보다
작은
전자부품부터 일상용품까지 손쉽게 붙였다가 떼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접착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지난 5월 28일 ... ...
신장 7배 커진 환자 신장 제거·이식 로봇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낸 1cm 구멍 3개, 이식할 신장이 들어갈 6cm 절개창을 통해 이뤄졌다. 의료진은 복부에 낸
작은
구멍으로 로봇팔을 삽입해 기존 신장을 조금씩 떼어냈다. 잘못 움직이면 주변 장기와 혈관에 손상을 입힐 수 있지만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 수술로 좁은 공간에서 주변 장기 손상을 최소화하며 수술했다. ... ...
생체노폐물 요소 활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연구결과는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됐다. 나노로봇 등
작은
입자나 기계장치를 기반으로 한 로봇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지만 세포 등 생명체를 직접 활용한 로봇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다. 알코올산화효소와 겨자무과산화효소로 구성된 효소 시스템이 효모 표면에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