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혈
트기
이종 교배
매기
튀기
혼혈아
잡종 카나리아
뉴스
"
잡종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야생 근연종을 교배해 나온 것도 있다. 오늘날 토마토 대다수는 두세 종의 게놈이 뒤섞인
잡종
이라는 말이다. 이번에 문제를 일으킨 방울토마토는 국내 품종 등록번호 ‘HS2106’인 특정 품종이라는데 구체적인 정보가 없어 어떻게 나온 것인지는 모르겠다. 아마도 교배 과정에서 게놈이 뒤섞이며 ... ...
두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되면
잡종
바이러스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0.25
것처럼
잡종
바이러스를 이용해 항체를 보유한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잡종
바이러스는 면역 체계를 회피하도록 도울뿐 아니라 더 넓은 범위의 폐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다. 인플루엔자A는 코와 목구멍을 감염시키는 반면 RSV는 기도와 폐까지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멘델 탄생 200주년
2022.07.26
자가수분해 맺힌 꼬투리에는 둥근 콩과 주름진 콩이 3:1의 비율로 들어있었다. 멘델은
잡종
1세대에서 보이는 형질을 우성, 이를 자가수분해 얻은 2세대에서 다시 등장하는 형질을 열성이라고 불렀다. 어떤 형질이 특정 인자(훗날 유전자로 부르게 될)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는 ‘분리의 법칙’이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P값에 반기를 든 초파리 행동유전학자
2022.03.10
않은 채 마치 당대의 모든 통계학자들이 유일한 한 가지 검정법만을 인정한다는 듯이
잡종
검정법을 소개”하고 있었다. 즉, 당시 심리학계에선 통계학 내부에서 서로 다른 두 방법론을 두고 벌어지던 논쟁을 완전히 무시하고, 이 둘이 단일한 것이라고 받아들여 사용했다는 것이다. 통계학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2022.02.02
커지고, 기능이 발달하게 된 것도 조리한 음식 덕분이라는 주장도 있다. 체계적인
잡종
교배를 이용하는 유전자 변형 기술인 육종 기술도 인류의 적응력을 강화시켜준 획기적인 기술이었다. 인간이 거칠고 위험한 자연 환경에서 소규모 가족 단위로 떠돌이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던 수렵채취 ... ...
신종 변이 '델타크론'은 실험실 오염 결과 가능성…변이 공포가 만든 해프닝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1.23
이런 변이가 없기 때문에 실험실에서 두 변이가 섞이는 오염이 일어나면 마치 두 변이가
잡종
을 일으킨 것처럼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밀 교수는 "델타크론이 실제 발생했다면 그 유전체는 델타 변이가 가진 돌연변이 때문에 일부 유전자가 발현하는 것이 제한적이므로 이런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생화학, 유전학, 생물학, 컴퓨터과학 등등의 분야에서 분자생물학으로 넘어온 다양한
잡종
들의 경연장으로 북적이던 최첨단 학문이었다. 특히 물리학자이던 막스 델브뤽 같은 학자들이 파지그룹을 만들며 형성한 분자생물학자들의 문화 속에서, 유전자의 이름은 초파리 유전학과는 정반대로 ... ...
키프로스에서 코로나19 델타·오미크론 섞인 '델타크론'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2.01.09
요소들이 합쳐져 있다"면서 "오미크론 돌연변이 30가지 가운데 10가지가 키프로스
잡종
변이에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방역당국은 국내에서는 델타크론 변이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9일 밝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키프로스 보건당국 및 전문가들은 이 변이에 대해 우려하기는 아직 이르며 ... ...
[화보] 핑크 형광 뽐내는 뜀토끼…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1.12.15
영장류를
잡종
배아 시험에 활용해 윤리적 논란도 불러일으켰다. 연구팀은 원숭이
잡종
배아로 인간 장기를 만들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제공 두 개의 블랙홀이 블랙홀 주변 뜨거운 가스에서 나오는 빛을 왜곡하는 신비로운 모습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드러났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식물이다. 각각 기본염색체(x) 9개로 이뤄진 이배체(2n=2x=18) 식물 두 종 사이에서 생겨난
잡종
에서 전체게놈복제가 일어난 결과다(2n=4x=36). 기본염색체가 10개인 이배체(2n=2x=20) 배추와 9개인 이배체(2n=2x=18) 양배추 사이에서 사배체 유채(2n=4x=38)가 나온 것과 같은 과정이다. 우장춘 박사가 발견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