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진 틈
뉴스
"
절리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80년만의 폭우…물폭탄 원인은 이례적 '정체전선'
동아사이언스
l
2022.08.09
하다. 또 형성된 정체전선은 오호츠크해 고압능이 막고 있다. 거대한 ‘공기벽’이 돼
절리
저기압이 동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고 있다. 제5호 태풍 ‘송다’와 제6호 태풍 ‘트라세’가 열대저압부로 약화한 뒤 한반도 북동쪽으로 이동해 수증기를 공급하고 공기를 부풀리며 고압능이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아래가 규장암질 암맥, 위가 화강반암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래쪽 규장암질 암맥은
절리
가 많아 더 잘 부서져 잘록한 목이 되었고, 덜 부서진 상단의 화강반암은 불룩한 얼굴이 되어 지금의 모습이 된 것입니다.. 앞으로 파도가 계속 바위를 때린다면, 서낭바위는 언젠가는 결국 무너질 겁니다. ... ...
[지구는 살아있다]펀치볼, 2억년간 빗방울이 만든 '딥 임팩트'
2021.04.18
약 2억 년 전, 중생대 쥐라기에 만들어진 화강암이 발견된다. 화강암은 잘 갈라져서
절리
도 많고 풍화에도 약해서 잘 부서진다. 지질학자들은 암석이 여러 작용으로 점차 파괴되고 분해되어 흙으로 변하는 현상을 ‘풍화’라고 부른다. 땅속 깊은 곳에서 만들어진 암석은 높은 압력을 받다가,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용암이 흐른 자국인 ‘새끼줄구조’와 용암이 식으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갈라진 ‘주상
절리
’가 그 예다. 화산이 폭발하면서 날아간 ‘화산탄’도 흔히 볼 수 있다. 만장굴 바닥의 새끼줄 용암. 흐르던 용암이 밀려서 굳은 흔적이다. 우경식 제공 ※필자소개. 우경식. 강원대 지질지구물리학부 ... ...
용암이 만든 절경....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이언트 코스웨이’은 어떻게 생겨났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2
“그간 균열이 생기는 동시에 암석으로 굳어지는지 또는 굳어진 다음에 균열이 생겨 주상
절리
모양이 생기는지 등이 논란이 됐다”며 “(이번 연구는) 후자의 결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연구자인 리버풀대 화산학과 재키 켄드릭 박사후연구원은 “(용암 온도가)약 800도 근처에서 ... ...
폭우가 빚은 참사 ‘쓰촨성 산사태’...본격 장마철 맞는 한국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6.26
제주도를 제외한 남한지역은 화강암이 많다”며 “화강암도 내부에 특정 방향의
절리
면이 있어 그 틈으로 물이 들어가기 쉽다”고 말했다. 변성암의 일종인 편마암(왼쪽)과 화성암의 일종인 화강암. 변성암과 화성암이 한국 지반을 이루는 암석의 90%를 차지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 혼합림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티엠디는 여러 층이 달라붙은
절리
(節理)구조 물질로 높은 성능을 얻으려면 각 층을 한 장씩 떼어내 전자소자로 만들어야 한다. 지금까지는 정밀한 기계장치를 이용했지만 제작 시간이 길어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팀은 화학적으로 ... ...
동서양의 교두보 ‘보스포루스’에서 과학의 역사를 보다
2014.12.21
억새, 겨울에는 설경 등 4계절 생태경관이 우수하다. 천연 기념물 제465호인 무등산 주상
절리
대처럼 지질학적 보전가치가 우수한 장소도 산재해 있다. 하지만 무등산 지역이 국립공원으로 거듭나는 데는 우여곡절이 컸다. 이 책은 무등산의 국립공원 지정에 얽힌 이야기를 담고 있다. 국립공원 한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