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교수"(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2022년도 신양공학학술상 수상자 6명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2.10.20
- 2명, 학술분야 3명, 산학협력분야 1명이다. 신양공학학술상은 서울대 공대에서 정교수 및 부교수로 승진하는 만 49세 이하 젊은 교수들 중 업적이 뛰어난 교수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서울대 공대 동문이며 태성고무화학 창업자인 고(故) 정석규 신양문화재단 이사장의 출연금으로 2005년부터 운영 ...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2022.07.05
- 역시 세상은 인물을 알아본다. 스탠퍼드대에서의 1년을 보낸 후, 미국 프린스턴대의 정교수로 옮겼다. 세계 최고 수학자들의 공격에도 수십 년간 난제로 남아있는 문제들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게 마련이다. 그 분야의 기존 사고와 체계로는 안 풀리는 굳게 묶인 어떤 고리가 있는 것이다. 허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금수저의 '나쁜 논문'2022.04.21
- 논문 스펙쌓기를 도왔다. A교수는 이 과정에서 모든 과정을 치밀하게 설계했다. 그는 정교수 승진을 준비중이던 학과의 후배교수 D에게 자신이 교신저자가 되면 문제가 될 수 있으니 대신 교신저자를 맡아달라고 부탁했다. 이렇게 출판된 논문으로 유나는 A교수가 실무위원장 및 심사위원으로 있는 ... ...
- 한인 최초 미국수학회 부회장에 오희 예일대 석좌교수동아사이언스 l2020.12.09
- 브라운대에서 교수를 지냈다. 오 교수는 2013년 예일대 수학과 역사상 첫 여성 종신 정교수로 부임했다. 2015년부터 예일대 석좌교수로 재직중이다. 오 교수는 미국수학회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수행했다. 2012년 미국수학회 초대 석학회원(펠로)으로 선정되고 2015년 한국인 처음으로 미국수학회가 ... ...
- "여성 과기인 육성, 경력단절 넘어 리더십으로 이어지는 '성장사다리' 놔야"동아사이언스 l2020.09.09
- 33.6%로 늘어난다. 승진에서도 조교수 승진 중 여성 비율은 26.5%, 부교수에선 27.1%지만 정교수에선 14.4%로 떨어진다. 보직에서도 학과장을 맡는 비중은 17%, 부속기관장은 15.5%, 학장이나 대학원장을 맡는 경우는 11.9%, 실장이나 처장을 맡는 비중은 10%로 점점 줄어든다. 공공연구기관에서도 이같은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출판의 풍경을 바꾼 깨어있는 사람들2020.04.23
- 생리학 분과의 행정관을 지냈다. 이후 1956년까지 같은 대학에서 생리학 정교수로 재직하다가 NIH의 연구비 담당 부서장으로 임명되어 이후 1967년까지 국가연구비와 연구관련 행정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앨브리튼은 1949년에서 1954년까지는 국립연구협의회의 사무총장으로 생물데이터 핸드북 ... ...
- 박규해 전남대 교수 원안위 위원 추천안 국회 본회의 가결동아사이언스 l2020.03.18
- 알려진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에서 근무하다가 2012년 전남대 공대 기계공학부 정교수로 부임했다. 박 위원이 이번에 선임되면서 원안위는 위원 9명 자리를 모두 채우게 됐다. ... ...
- [기고] 좋은 대학원을 만든 대학원생 노동자들의 노력동아사이언스 l2019.10.30
- 교육 조교의 학비면제를 포함한 실수령액은 3만 5000달러(약 4100만 원) 정도다. 미국 정교수 평균 연봉의 3분의 1 수준이다. 안경을 맞추기 위해 지급되는 보조금과 척추교정을 위한 마사지 등 생활에 밀접한 복지혜택도 노조가 얻어낸 혜택이다. 오랜 시간 앉아 모니터와 서류를 쳐다봐야 하는 연구 ... ...
-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3인은 누구동아사이언스 l2019.10.07
- 이후 존스홉킨스의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한 후 1990년 교수로 부임했다. 1999년 정교수로 선임됐고 존스홉킨스 세포공학연구소의 혈관연구 프로그램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를 만든 건 고등학교 은사와 친구의 아기였다. 2010년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 ...
- “젊은 과학자 키우려면 공평한 기회 주고 아이디어 존중해야”동아사이언스 l2019.07.12
- 세 번째 수상자다. 더구나 수상 당시 개인 위키피디아 페이지도 없고, 경력이 충분함에도 정교수가 아닌 한 단계 낮은 부교수 신분이라는 사실 등이 밝혀지며 차별 논란을 일으켰다. 이런 소동에 대해 스크리클런드 교수는 “개인적으로는 차별을 받지 않았다”면서도 ‘하지만 다른 여성은 그런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