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조
이씨왕조
조선조
한양조
왕조
이씨
뉴스
"
조선왕조
"(으)로 총 8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제1기 인공지능 윤리 정책 포럼 출범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공동 주최한다. 대전일보는 ‘검은 호랑이해 우리나라 하늘 그리고 우주’를 주제로
조선왕조
실록에 기록된 호랑이해 주요 천문현상을 소개한다. CNCITY마음에너지재단은 이경미 작가의 설치미술 작품을 선보인다 ... ...
70년전 국악원 창고서 발견된 신성한 악기 옥피리, 소리와 함께 베일을 벗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1
경기도 화성 건달산에서 채굴한 ‘남양옥’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조선왕조
실록에 따르면 화성 건달산은 중국과 조선의 전통악기인 편경 같은 악기 재료인 옥을 제공하는 공급처였다. 하지만 공주대 연구팀이 이 옥저 성분을 분석한 결과 남양옥과는 전혀 다른 성분을 보인 것으로 ... ...
조선시대 대표 공용 해시계 '앙부일구' 3점, 보물 된다
연합뉴스
l
2022.01.03
이순지 등이 왕명에 따라 제작해 종로에 있던 다리인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했다.
조선왕조
실록에는 "모든 시설에 시각보다 큰 것이 없는데, 밤에는 경루(更漏)가 있으나 낮에는 알기 어렵다. 구리로 부어서 그릇을 만들었으니 모양이 가마솥과 같다. 길 옆에 둔 것은 보는 사람이 모이기 때문이다. ... ...
19세기말 한양 도성엔 범 거닐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영국 대영도서관의 자료와 14~19세기 조선의 기록을 비교적 상세히 담은
조선왕조
실록과 승정원 일기에서 한양 도성에 등장한 아무르표범의 흔적을 찾았다. 조선 후기에 속하는 1870~1900년 사이 기록을 중점으로 살펴본 결과, 이 기간 표범이 살았다는 내용을 12건 확인했다. 일례로 미국의 ... ...
[의학게시판] 분당서울대병원, '사례로 본 신장암 가이드북' 출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10.01
기존 연구들은 세종대왕이 성병인 임질을 앓았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 교수는
조선왕조
실록에 언급된 세종의 통증 발생 시기와 양상을 종합해 강직성 척추염을 앓았을 것이라 주장해 올해 국제학술지 '류머티스 질환 국제저널'에 발표하기도 했다. ■ 한국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기술의 역할 ... ...
겨울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은하에서 일어난 마지막 초신성은 1604년 일어난 케플러 초신성이다. 케플러 초신성은
조선왕조
실록에도 기록이 있다. 다만 베텔게우스가 언제 폭발할지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구 어디서나 베텔게우스의 마지막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학자들은 만에 하나 베텔게우스가 폭발하면 약 1 ... ...
댐 수문 열리듯 태백산맥서 쏟아진 태풍급 바람, 봄철 강원 영동 산불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2
동아일보DB ‘마치 불씨가 도깨비처럼 날아다녔다’. 조선시대 왕의 행적을 적은
조선왕조
실록은 성종 20년(1489) 2월 24월 강원도 양양에서 일어난 불을 이렇게 적고 있다. 불씨는 주변 가옥 205채와 '천년고찰' 낙산사 관음전을 태운 다음 간성(현 고성)까지 번져 향교와 가옥 124채를 태우며 큰 ... ...
조선시대에도 황사가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국가기록원 제공
조선왕조
실록에 황사 현상에 대한 기록이 자주 나온다. 태종 11년에는 14일 동안이나 흙비가 내렸다는 기록이 있고, 성종 9년 4월에는 흙비가 내린 것에 대해 임금이 정치를 잘 못하거나 자격 없는 사람이 벼슬자리에 앉은 것에 대한 응보(應報)라고 해서 범상치 않은 재이(災異)로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강원도 삼척에는 조선 태조의 5대조 양무 장군 묘인 준경묘가 있다. 천하 명당으로 알려져 있다. 5대 조부라면 고조할아버지의 할아버지다. 까마득한 조상이다. 서기 1231년 이양무가 죽자, 아들이 명당자리를 찾아 나섰단다. 그런데 어떤 도승이 ... ...
고천문 기록 꼼꼼히 정리한 안영숙 책임연구원 올해의 KASI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자료도 분석해 기록집을 발간하는 데 열중할 계획이다. 안 책임연구원은 “조선 시대는
조선왕조
실록 외에도 승정원일기에 기록이 많은데 번역이 덜 돼 어려움이 많다”며 “여기에 쓰인 자료를 현대에 맞게 바꿔 사람들이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시상식은 이달 10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