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조절자"(으)로 총 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츠하이머 새 발병 메커니즘 규명...'오토파지' 활성과 연관동아사이언스 l2023.12.27
- 연구팀이 세포내 단백질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메커니즘인 오토파지(자가포식작용)의 조절자로 'TRIM22 단백질'을 새롭게 발견하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가족성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가장 높은 유전 인자인 'PSEN-1 돌연변이'를 보유한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 ...
- 내년 ‘인류세’ 선언 예정... “1950년부터 인류가 자연 압도” 동아사이언스 l2023.08.18
- “인간이 하나의 생물종 역할을 해왔지만, 어느 시점부터는 자연을 바꾸는 조절자 역할로 변모했다”고 말했다. 인류세 등장 전까지는 인간이 아닌 자연이 스스로 지구 환경을 조절해왔다는 설명이다. 천문학자 밀루틴 밀란코비치는 지구의 공전, 자전축 기울기의 영향을 받아 기후 변화가 ... ...
- 김빛내리, 암 치료 위한 RNA 유전자 치료제 새 가능성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23.02.23
- 질병 등 생명 현상의 모든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간 몸에는 유전자 발현 조절자 역할을 하는 miRNA가 수백 종 존재한다. miRNA가 만들어지는 데 필요한 재료물질인 기다란 miRNA 전구체가 '드로셔 단백질'과 다이서 단백질에 의해 순차적으로 절단되는 과정을 통해 miRNA가 생성된다. miRNA ... ...
-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동아사이언스 l2023.02.02
- 박상기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MAD1이 신경 발달의 필수 조절자이며 MAD1의 기능적 이상이 조현병의 신경발생 단계에서의 원인 이해에 새로운 기초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말했다 ... ...
- 코로나 백신 전쟁의 스타는 제약사 아니라 생명공학기업 2021.05.27
- 짚었다. RNA는 단백질 생산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단백질을 덜 만들거나 더 만드는 조절자 역할도 한다. 직접 유전체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포함해 지카, 에볼라, 뎅기열, 황열 바이러스 등 RNA 바이러스에 속하는 종이 이에 해당한다. 김 석좌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을 ... ...
- 110년 신비 '핵 얼룩'의 재발견, 암세포 아킬레스건 될까연합뉴스 l2021.04.06
- 발표했다. 논문의 수석저자를 맡은 버거 교수는 "핵 얼룩이 유전자 발현의 핵심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게 확인됐다"라면서 "이는 암에 대해서도 어떤 역할을 한다는 걸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림프절에서 항산화 코팅을 받는 흑색종 세포 이미지. 이렇게 '지방 코팅'을 거친 암세포는 산화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키워드 'RNA'는 어떤 물질인가 2021.02.09
- 완성품이 제작된다. 다양한 RNA의 종류. IBS 제공 RNA의 다양한 능력은 ‘생명현상의 조절자’라고 요약할 수 있다. 현재 DNA와 단백질이 담당하는 기능이 RNA에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지구 역사상 첫 유전물질이 DNA보다 RNA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는 과학자들도 많다. ... ...
- 열대 태평양 강수량 증가 규명 예상욱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동아사이언스 l2020.06.03
- 열대 지역의 워커 순환과 해들리 순환이 그 지역 강수량 구조의 세부적 변화를 결정하는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이를 통해 전 지구의 물 순환과 이상 기상 및 기후 변동의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2020.01.04
- 수질에서는 mTECs에 의해서 다시 자기 펩타이드에 노출된다. 이 세포는 자가 면역 조절자(AutoImmune REgulator, Aire)와 아연 집게 전사 인자(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 Fezf2)을 발현한다. AIRE는 21번 염색체 긴 팔에 위치(21q22.3)한 유전자가 지시하는데, 체내의 건강하고 정상적인 단백질을 다시 T 세포에 ... ...
- 세포가 에너지 만드는 ‘오토파지’ 조절자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12.18
- 유성운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오른쪽)와 논문 제1저자인 안현규 박사과정 연구원. DGIST 제공. 세포의 ‘자가포식’으로 불리는 ‘오토파지’는 세포 내부 오래된 단백질이나 세포 소기관을 분해해 새로운 영양소로 재활용하는 현상이다. 오토파지는 해로운 단백질을 제거해 인체 내 세포 생존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