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죄악"(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오늘도 식욕 앞에서 무릎 꿇었다면... 2018.05.20
- 질병’이라고 합니다. 둘째 마음에도 문제가 생깁니다. 교부철학자들이 탐식을 죄악의 반열에 올린 이유죠. 탐식은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는데, 급하게 먹는 것, 게걸스럽게 먹는 것, 지나치게 먹는 것, 까다롭게 먹는 것, 사치스럽게 먹는 것입니다. 대부분 현대 의학에서 말하는 식이 장애의 ... ...
- 동성애는 죄악인가? 질병인가?2017.10.02
- 동성애는 어느정도 타고 나는 형질이다. 하지만 또다른 의혹이 일어났다. 동성애가 죄악도 아니고, 학습에 의한 것도 아니라면, 혹시 그냥 질병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성적 행위를 하고 있는 두 마리의 청둥오리 수컷. 동성애는 동물의 세계에서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 여러 진화적 증거에 ... ...
- 귀신이라고 버림받은 아기, 1년 후 모습팝뉴스 l2017.02.11
- 물을 받아 마시고 호프도 물을 주는 로벤도 행복한 표정이다. 미신과 무지가 큰 죄악으로 이어질 뻔 했다. 로벤과 호프의 사진은 페이스북에 공개된 후 큰 감동을 주면서 화제를 일으키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 지옥을 연상시키는 용암 지대팝뉴스 l2017.02.09
- 엉겨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붉은 불길이 타오르는 구멍으로 빠져드는 것 같다. 죄악을 저지른 자들의 최후인가. 사진을 보는 사람들은 공포스러운 상상에 빠져들게 된다. 이 사진은 미국 하와이 카모쿠나 서쪽 지대에서 촬영된 것이다. 용암이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모습으로 굳었다. ... ...
- 화를 참을 수가 없는 나, 어떡해야 하죠?2017.02.04
- 문화권 아니라 다른 문화권도 마찬가지입니다. 기독교 문화에서는 분노(Ira)가 칠죄종, 즉 죄악을 일으키는 일곱가지 대죄로 보고 있습니다. 마태복음에는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사람은 누구나 재판을 받아야 하며…… 또 자기 형제 더러 미친 놈이라고 하는 사람은 불붙는 지옥에 던져질 ... ...
- 당신은 무엇때문에 부끄럽나요? 양심 혹은 남의 시선? 2017.01.29
- 이이 비해 서양 사회는 죄의 문화라고 이야기 합니다. 다른 사람의 시선보다는, 종교적 죄악이 더 중요한 수치심의 기준라는 것이죠. 이런 기준으로 보면 죄책감은 죄의식으로부터 시작하는 부끄러움, 그리고 수치심은 당혹스러움에서 시작하는 부끄러움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은 ... ...
- 마블 히어로의 독주 2016.10.27
- 역시 빼놓을 수 없다. 세븐 - 제이앤씨미디어그룹 제공 두 번째로 은 7가지 죄악인 탐식, 탐욕, 나태, 욕정, 교만, 시기, 분노를 주제로 연쇄 살인을 벌이는 살인마의 행적을 쫓는 스릴러 영화. 앞서 소개한 보다도 4년 먼저 개봉한 영화로 데이빗 핀처 감독의 두 번째 장편 ... ...
- [멘탈테스트] 당신은 얼마나 멘탈이 강한 사람입니까2016.10.25
- ‘일상’과 ‘소소한 즐거움’을 유지하려고 노력해보자. 상황이 이렇지만 행복감을 죄악시하지 말자고, 이겨내기 위해서라도 지금 행복할 필요가 있다고 서로 숨통을 틔어주고 지지해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 참고문헌 Ong, A. D., Bergeman, C. S., Bisconti, T. L., & Wallace, K. A. (2006). Psychological ... ...
- [동아쟁론]“폐암 주세요” 금연광고동아일보 l2015.12.11
- 합법적으로 판매되는 기호품인 담배를 구입하는 행위 자체를 ‘질병 구매’로 죄악시하는 것에 대해 담배 소비자가 모두 질병에 걸린 것처럼 인신공격을 하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전국의 담배 판매인들 역시 해당 금연광고를 금지해 달라며 법적 대응까지 불사하고 나섰다. 전국 13만 담배 ... ...
- 과학의 역사는 천재가 아닌 대중이 만드는 것!동아사이언스 l2014.01.19
- 열량을 따지고 맛없는 다이어트 음식을 찾아 헤맨다. 너나할 것 없이 살이 찌는 것을 죄악처럼 여기는 세상이 된 것이다. 19세기 말만 해도 ‘살이 쪘다, 뚱뚱하다’는 말은 위풍당당하고 경제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풍요로운 사람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단어였다. 그러나 이제 ‘뚱뚱하다’는 말은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