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붕밑
처마높이
높이
뉴스
"
처마
"(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에 불교를 들인 이차돈의 순교
동아사이언스
l
2013.11.10
1980년 지금의 위치로 이동했다. 홍살문, 영녕문, 경엄문을 지나 앞면 3칸, 측면 2칸의 겹
처마
맞배지붕의 숭신전이 나온다. 홍살문과 영녕문 사이에 1921년에 세운 ‘신라석탈해왕비명’이라는 신도비와 비각이 있다. 탈해왕에 대해서는 월성지구에서 다시 설명한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54호인 ... ...
돌을 떡 다루듯 다룬 백제인의 솜씨
동아사이언스
l
2013.10.21
방(榜) 등을 두었으며 넓은 판석을 다듬은 지붕돌의
처마
부분도 기와집의 지붕처럼
처마
선이 약간 들리도록 했다. 문제는 석재로 이렇게 만들려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돌의 성질에 맞게 세부를 단순하게 해서 다듬었는데 이렇게 만든 탑이 부여 정림사터에 있는 오층석탑 ... ...
시각과 청각이 결합된 장엄함 '신라 탑'
동아사이언스
l
2013.10.16
모서리 양쪽에는 소형구멍을 만들어 이곳에 금속으로 제작된 풍탁을 매달아 걸었다.
처마
에 달린 풍경과 상륜을 잇는 체인에 달린 풍탁은 작은 바람에도 살랑살랑 흔들려 제각각의 빛과 소리를 내었다. 말하자면 시각적인 장엄뿐 아니라 청각적인 장엄도 고려한 것이다. 탑이 없는 사찰도 ... ...
덕수궁 보존의 비밀은 특별한 곡선 덕분?!
수학동아
l
2013.08.07
있는 도형들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중화전 창문틀에서 발견한 정삼각형, 중화전
처마
밑의 부시(새의 접근을 막기 위한 도구)에서 발견한 정육각형, 중화문에서 중화전 사이 앞마당의 정사각형은 모두 평면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는 도형이라는 사실이에요. 조상들은 창문의 창살을 만들 ... ...
비오는 날의 고택
동아사이언스
l
2013.05.29
안동의 종갓집 임청각. 수백 년 된 고택의
처마
끝에 맺힌 빗방울이 여름을 재촉하는 듯하다. photo by 동아사이언스 ...
[최형국의 무예 이야기]조선시대 화약 제조
동아일보
l
2013.05.24
곳도 많아 할당량을 채우기가 늘 어려웠다. 그래서 비상시에는 국왕이 살고 있는 궁궐의
처마
밑이나 화장실 근처 흙도 죄다 퍼내 화약재료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렇게 구한 흙은 곱게 태운 재를 섞어 물에 녹이는 ‘사수’라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가마솥에 넣고 끓였다가 채에 걸러 고운 침전물을 ... ...
인수대비는 무덤도 ‘여성상위’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크고, 장명등 옥개석 아래의
처마
밑 처리가 한옥의 다포 양식으로 돼 있어 당시의
처마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반면 소혜왕후의 능은 추존왕 덕종과는 달리 생전에 왕비로 책봉되었기 때문에 왕릉 형식을 갖추고 있다. 12칸의 난간석을 비롯해 다른 왕릉과 같이 모든 석물들이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