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국
천상계
하늘나라
천당
극락
낙원
이상향
뉴스
"
천상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벌어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당장 내일 터질 수도 있고 수백만 년 뒤에 터질 수도 있다.
천상
계가 지구와 완전히 다른 세상이라면 별의 대기를 구성하는 성분도 지구에서 볼 수 없는 것들일 것이다. 허긴스의 관측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지구에 없는 특별한 원소는 없었다. 허긴스 부부는 1868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
2020.07.09
지상계는 전혀 다른 세상이었다. 지상계는 엠페도클레스의 4원소가 지배하는 반면
천상
계에는 제5원소에 해당하는 에테르가 가득 차 있었다. 한참 뒤인 17세기 빛이 파동이라고 주장했던 네덜란드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1629~1695)는 빛이 에테르의 진동을 통해 전파된다고 생각했다. 이후 빛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얼마나 이 우주의 본성과 잘 맞지 않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만하다. 과학혁명은
천상
을 향한 인간의 천체관 뿐만 아니라 지상에서의 운동관도 바꾸었다. 물체 본성의 근원을 자연스럽게 찾아가는 본성적 운동과 접촉기동자가 작동해야만 하는 강제적 운동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관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의 사과
2020.01.09
천상
계와 지상계에는 전혀 다른 법칙이 적용되었다. 뉴턴은 자신의 새로운 중력법칙으로
천상
계와 지상계를 하나로 통합해버렸다. 사과든 달이든 만유인력의 법칙이 적용되면 땅으로 떨어지기도 하고 영원히 지구 주위를 돌기도 한다. 서로 다른 법칙이 적용되는 두 개의 분리된 세상이 있다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토론 즐겼던 근대과학의 아버지
2019.12.12
무거움이라는 본성을 쫓아 지구중심으로 향하고 가벼운 물체는 가볍다는 본성을 쫓아
천상
으로 올라가는 성질이 있다. 그 결과 무거운 물체가 가벼운 물체보다 빨리 떨어진다는 게 아리스토텔레스의 과학관이었다. 갈릴레오의 사고실험은 아주 간단하다. 만약 가벼운 물체와 무거운 물체를 하나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갈릴레오, 하늘을 보다
2019.11.14
갈릴레오는 자신의 수학실력을 발휘해 달 표면의 산 높이를 구하기도 했다. 요컨대
천상
계의 달 표면이 지구의 표면과 별반 다르지 않음을 갈릴레오가 알아낸 것이다. 그러니까 갈릴레오는 망원경을 이용해 무려 2천 년에 걸친 아리스토텔레스의 ‘거짓말’을 밝혀낸 셈이다. 태양의 흑점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플라톤주의자였기 때문에 행성의 궤도가 원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 플라톤에 따르면
천상
계의 행성은 스스로 완벽한 원운동을 한다. 케플러는 브라헤가 남긴 데이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계산해 원 궤도에 맞춰보았다. 그 결과가 아주 나쁘지는 않았다. 원 궤도에 맞춰 본 케플러의 결과는 약 8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고대의 하늘
2019.09.19
지구의 가장 가까운 곳에 달이 지구 주위를 돈다. 여기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상
계가 시작된다. 달 바깥쪽에 수성과 금성이 차례로 자리를 잡고 있다. 태양은 금성 바깥에서 지구 주위를 돈다. 그 바깥쪽으로 화성, 목성, 토성이 차례로 위치해 있다. 오랜 경험으로 사람들은 수성과 금성이 태양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식의 운동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천상
계도 뭔가로 가득 차 있다.
천상
계를 가득 채운 물질을 에테르, 또는 아이테르라 한다. 지상계는 흙, 물, 불, 공기의 4원소로 가득 차 있다. 그래서 에테르를 후대에 제5원소라 불렀다. 몇 년 전 한 일간지에 칼럼을 쓰기 시작하면서 칼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천상
계와 지상계가 확연히 구분된다. 그러나 스승과 다른 점도 많았다. 스승이
천상
의 이데아에 관심이 많았다면 제자는 땅위의 현실에 관심이 많았다. 스승은 수학을 좋아했던 반면 제자는 감각경험을 중시했다. 게다가 제자는 그런 방면에 재능도 뛰어났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동물을 관찰하고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