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색
채색
색조
혈색
보호색
자연색
원색
뉴스
"
천연색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가장 정밀한 SMACS 0723 은하 구조 보여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차세대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촬영한 총
천연색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지구에서 약 46억 광년 떨어져 있는 SMACS 0723 은하단을 촬영한 것으로 현재까지 인류가 촬영한 우주 사진 중 가장 높은 해상도를 자랑한다. SMACS 0723 은하단의 가장 정밀한 ... ...
정부,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 지원...2026년까지 439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2.06.01
정지궤도위성인 천리안 2A가 촬영한 한반도 사진에 AI를 적용했다. 새벽 시간에도
천연색
으로 태풍과 구름을 관측할 수 있다. 기상청 제공 정부가 공공·민간 분야의 위성정보 빅데이터 활용 지원에 나선다. 올해부터 2026년까지 총 439억5000만원을 투입해 위성정보 가공과 활용을 위한 첨단기술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새는 고추의 매운맛 못느낀다
2021.10.26
고농도로 존재해 포유류가 꺼린다. 대신 색이 붉게 바뀌며 주변 잎과 보색대비를 이뤄 총
천연색
을 볼 수 있는 새의 눈에 쉽게 띈다. 최 교수는 “토마토씨를 본 적이 있느냐?”며 고추씨보다 작은데다 미끌미끌한 젤에 싸여있어 포유류가 씹어 먹어도 거의 파괴되지 않고 장을 통과할 때도 제대로 ... ...
뜨거운 날씨로 점점 높은 하늘에 뜨는 구름, 온실효과로 지구온난화 더 가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0
2A가 촬영한 영상에 AI를 적용했다. 새벽 시간대에도
천연색
으로 태풍과 구름을 관측할 수 있다. 기상청 제공 영국 기후학자들이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구름 사진을 이용해 지구온난화 수준을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구름이 지구 온실 효과를 높이면서 향후 지구온난화를 ... ...
구리를 360가지 색으로 알록달록하게 만드는 법
과학동아
l
2021.04.09
박막을 만든 뒤 산화층의 두께를 원자층 수준으로 제어했다. 그 결과 360가지 이상의 총
천연색
을 띠는 구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구리의 산화층 두께에 따라 구리와 산화층 경계에서 반사되는 빛이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지면서 나타난 현상이었다. 산화 방향을 제어하는 과정에는 산화-식각(oxide ... ...
AI 이용해 캄캄한 밤에 북상하는 태풍 모습 대낮처럼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밤 시간의 적외영상만 이용해 가시영상을 생산하도록 했다. 기상청은 “천리안 2A호의
천연색
영상을 24시간 활용할 수 있어 태풍과 대설, 안개 등 자연재해 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라며 “여름철 한반도 접근 태풍 중심 상세분석과 겨울철 서해안 대설 구름 사전 탐지, 봄철 바다 안개 ... ...
태풍 중심축의 흔들림도 보인다…태풍 24시간 감시하는 '우주의 눈' 천리안2A호
동아사이언스
l
2021.01.31
2018년 발사됐다. 천리안1호보다 4배 더 자세히 볼 수 있고 관측 파장대를 늘려 흑백 대신
천연색
으로 관찰이 가능해졌다. 한반도 촬영 주기는 15분에서 2분으로 줄여 실시간에 가깝게 볼 수 있다. 안 교수는 “숫자로 따지면 60배 정도 성능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24시간 연속으로 실시간에 가깝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색각을 회복해 총
천연색
을 보게 됐다. 그 후손이 바로 우리다. 4색형 색각으로 울트라총
천연색
을 보는 벌새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주면 이렇게 반응하지 않을까. “애썼다.” 우리 눈에는 2색형 색각인 개가 보는 색의 세계(왼쪽)가 꽤 빈약해 보인다. 4색형 색각인 벌새의 눈에는 3색형 색각인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광학적 특징을 바꿀 수 있어 새로운 재료를 찾을 수고를 덜 수 있다. 이런 특징 때문에
천연색
을 구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기존 재료로는 광전환 효율에 한계가 있었던 태양전지, 신체 조직을 뚫고 나올 수 있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이 필요한 바이오이미징 분야에서 퀀텀닷을 활용하기 위한 ... ...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저전력
천연색
디스플레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1
노준석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구조색 기술은 염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색이 바래지 않고 외부의 강한 광원 없이 저전력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로 꼽힌다. 그러나 구조색 기술은 소자를 한번 제작하고 나면 특성을 바꾸기 어려워 재현할 수 있는 색이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