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데이터 첫 공개…타란툴라 성운 등 6000여장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edu/Missions/spherex.html)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국제 공동 연구진이 스피어엑스의
최초
공개 데이터 중 일부를 선정해 만든 돛자리 분자운 능선(Vela Molecular Ridge)의 이미지. 오른쪽의 노란색 밝은 영역은 별빛에 의해 적외선 파장에서 밝게 빛나는 성간 가스와 먼지의 구름인 RCW 36이다. NASA/JPL-Caltech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박영민·권경안…선박 핵심기술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TRO 센서 품질을 개선하고 TRO 측정 시 폭발 가능성을 차단한 본질방폭형 센서를 세계
최초
로 상업화해 핵심 장비 국산화 및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그는 수전해 전문 연구 기관을 설립해 재생에너지 경제성을 개선한 생에너지 직결형 수전해 시스템 개발에도 성공했다. 권 소장은 ... ...
원자력연 특허 '메이신' 안세영 선수 경기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치료에 효과적인 메이신은 옥수수 수염에서만 극미량 분리 가능했으나 원자력연이 세계
최초
로 잔디의 일종인 센티페드그라스에서 분리·정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원자력연은 메이신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기술 등을 개발해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기술을 바탕으로 ... ...
"헬로, 닥터 윗슨"…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인이 소개한 韓 초등학생 그림
2025.07.05
2008년 우주에 간 뒤 17년 만이다. ISS에서 정식으로 발표되는
최초
의 국내 예술 작품이기도 하다. 이번 행사에는 윤영빈 우주항공청 청장, 이태식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회장,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윤동섭 연세대학교 총장, 서영수 KT SAT 대표 ... ...
과학의 시대에 부활한 '백신 부정론'
2025.07.05
물리친다. 백신이 병원체가 일으키는 질병을 상대할 '면역'을 만들어주는 것이다.
최초
의 백신은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1798년 개발한 천연두 백신이었다. 제너는 소젖을 짜는 여성들이 소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 질환인 우두에 한 번 걸리고 나면 천연두에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에 착안해 ... ...
美 이란 핵시설 공습 현장…텔레픽스 위성 솔루션이 생생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며 "블루본 위성이 초기 운영 및 최적화 단계임에도 텔레픽스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초
로 AI 큐브위성으로 고품질 위성영상을 촬영하고 AI 에이전트가 위성영상 분석 보고서까지 자동으로 생성하는 과정을 실제로 입증했다”고 말했다. ... ...
2040년 한국에 뜰 인공태양 에너지, 고온초전도체·AI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계약을 체결했다. 아직 완전히 구현되지 않은 핵융합발전으로 전기 공급을 계약한 것은
최초
다. CFS의 핵심 기술이 바로 고온초전도체다. MIT 플라즈마 과학 및 핵융합 센터(PSFC) 과학자들과 협력해 소형 핵융합로용 고온초전도체 자석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5월 핵융합연이 고온초전도체 자석을 ... ...
4500년전 가장 오래된 이집트인 오른발에 관절염이…유전체 해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4700년 전 지어져 인류
최초
의 피라미드로 알려진 이집트 조세르 피라미드. 6개의 층으로 이뤄진 계단 피라미드로 높이는 60미터가 넘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지금으로부터 약 4500년 전에 살던 고대 이집트인의 전체 유전체를 해독하는 데 성공했다. 첫 계단식 피라미드가 건설된 시기에 ... ...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진단율 20%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20%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비코딩 영역 변이인 ‘딥인트론 변이’를
최초
로 확인했다. 딥인트론 변이는 유전자 내에서 단백질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엑손과 인트론 경계를 넘어 존재하는 비코딩 영역에서 발생하는 변이로 기존 검사 방법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연구팀은 ... ...
'먹는 레이저'로 식품·약물 모니터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제공. 과학자들이 식용 재료만으로 레이저를 개발했다. 삼켜도 인체에 무해한 세계
최초
의 먹을 수 있는 레이저다. 1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마트야스 휴마르 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 수학·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음식물이나 약물의 특성을 추적할 수 있는 식용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