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홍수
대수
뉴스
"
큰물
"(으)로 총 1,775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코 원전 불공정 계약 파장…"SMR은 달라 독자 기술 증명 가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한국수력원자력이 최종 계약을 체결한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자력발전소(원전) 조감도. 한국수력원자력 제공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한국전력이 올해 초 체코 원전 건설을 계약하며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지식재산권 분쟁 합의가 불공정하다는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계약의 불공정성 ... ...
'세계 모기의 날'에 울린 "모기 매개 '치쿤구냐' 확산" 경종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관절통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환 '치쿤구냐'의 주요 매개체인 이집트숲모기. 위키미디어 제공 기후변화로 모기의 서식지가 넓어지면서 수년간 심각한 관절통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환 '치쿤구냐(chikungunya)'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모기의 말라리아 전파 발견한 날을 기념 ... ...
원전 폐수 속 삼중수소, 상온 액체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9
엄우용 포스텍 첨단원자력공학부·환경공학부 교수(왼쪽)와 김효주 첨단원자력공학부 박사과정생. 포스텍 제공. 방사성 폐수 속 위험한 삼중수소를 상온 액체 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등 방사성 폐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 ... ...
[표지로 읽는 과학] 10km 해저 광섬유 케이블로 파악한 '빙하붕괴' 역학
동아사이언스
l
2025.08.16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그린란드 빙상의 모습이 실렸다. 그린란드 빙상은 미국 텍사스주의 3배 크기다. 모두 녹을 경우 전 세계 해수면을 약 7.6m 상승시켜 수많은 해안 도시를 침수시킬 수 있다. 그린란드 빙상이 사라지는 주된 원인은 빙하에서 바다로 흘러간 얼음조 ... ...
‘기적의 생환’ 아폴로 13호 선장 짐 러벨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5.08.10
우주인 짐 러벨의 초상화. NASA 제공. 달 착륙 직전 산소탱크 폭발에서 기적적으로 살아 돌아온 우주인 짐 러벨(Jim Lovell)이 별세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세계 최초로 달 궤도를 비행하고 우주선 폭발에도 살아 돌아온 전설의 우주인 짐 러벨이 7일(현지시간) 일리노이주 레이크 포레스트 자택 ... ...
인류가 거주할 새 행성으로 250년간 항해할 우주선은?
동아사이언스
l
2025.08.09
1위를 차지한 크리살리스팀의 디자인. 크리살리스팀 제공. 인간이 거주 가능한 행성으로 250년간 항해할 수 있게 설계된 우주선은 어떤 모습일까. 공상과학(SF) 소설이나 영화 속에서나 볼 법한 상상이 디자인으로 구현됐다. 6일(현지 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비영리 연구기관 '인터스텔라 연 ... ...
북극곰, 인간이 배출한 수은의 종착지
과학동아
l
2025.08.09
북극곰.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북극곰과 바다표범 등 그린란드 동물의 몸속 수은 농도가 증가하고 있다." 6월 12일 덴마크 공동연구팀이 충격적인 연구를 발표했다. 문제는 이들의 체내 수은 농도가 최고치가 아니라는 것이다. 수은 연구 전문가는 북극 해빙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북극권 생물들의 ... ...
고전류 상황서 800시간 연속 운전 가능한 수전해용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07
수소를 나타내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바닷물로 수소를 만드는 해수 수전해용 고성능 전극을 개발했다. 실제 산업 현장 조건과 유사하게 전극에 큰 전류가 흘러 들어가는 고전류 상황에서 800시간 연속 운전에 성공해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기연 ... ...
미세플라스틱, 단백질에 붙어 뇌세포 기능 해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6
미세플라스틱은 체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해 뇌세포 기능을 교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체내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이 생체 단백질과 결합해 뇌세포 기능을 교란시킨다는 점이 입증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최성균 핵심단백질자원센터장(바이오메디컬연구부 책 ...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7월 31일 중성미자 검출기 하이퍼카미오칸데가 설치될 일본 기후현 히다시 지하공동의 모습. 총 높이 93.7m, 지름 69m의 거대한 원통 형태다. Kamioka Observatory, ICRR, The University of Tokyo 제공 일본의 차세대 중성미자(Neutrino) 검출기 '하이퍼카미오칸데(Hyper-Kamiokande)' 건설을 위한 거대 지하공동 굴착이 완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