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스페셜
"
경로
"(으)로 총 88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박쥐 위협 '흰코 증후군' 막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각질세포에 직접 접근해 체내에 침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두 감염
경로
가 공통적으로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냈다. EGFR은 동물의 표면이나 장기의 표면을 덮고 있는 세포의 성장 호르몬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이러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시작한다. 여성 또는 일부일처제 동물의 암컷이 보이는 짝에 대한 애착 역시 같은 신호
경로
가 재활용된 것으로 행동의 측면에서 겹치는 면이 많다. 노나펩타이드 권위자인 미국 에머리대 정신건강의학과 래리 영 교수는 “여성은 사랑의 진화적, 신경학적 뿌리가 엄마-아기 유대 형성 회로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아이스크림, 케이크의 영양성분을 보면 각각이 전체 칼로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해 두
경로
모두를 최대한 자극하는 조성이다. 햄버거의 경우 보통 세트 메뉴로 많이 먹는데 콜라(당분)와 프렌치프라이(지방과 탄수화물)가 시너지 효과를 낸다. 그렇다면 왜 소화기는 섭취한 당과 지방의 칼로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없다”고 썼다. 흥미롭게도 베무라페닙의 표적인 변이 RAF 단백질은 라스의 신호 전달
경로
에 놓인 효소다. 라스 단백질 구조를 밝힌 실험실 출신으로 변이 라스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치료제 개발에는 끝내 성공하지 못한 장 박사가 이번 논문에 대해서는 어떻게 평가할지 궁금하다. ※ 필자소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않다. 원인을 파악하려면 한 달은 걸릴 거라고 하는 배경이다. 곰팡이독소는 다양한
경로
로 인체를 공격한다. 신장독성이 큰 대표적인 계열이 오크라톡신(ochratoxin)으로 누룩곰팡이속과 푸른곰팡이속의 몇몇 종이 만들어낸다. 흥미롭게도 오크라톡신의 구조를 보면 일부가 시트리닌과 꽤 비슷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식물이 잘 자라지 않는다. 그렇다면 빛의 세기가 식물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데도 이
경로
가 관여하지 않을까. 빛이 약하면 광합성 활동으로 만들어진 당이 적어 세포호흡 등 식물체의 기본 대사를 유지하는 에너지원으로 다 쓰여 MIPS1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빛의 ... ...
[과기원NOW] KAIST, 흡연과 음주가 구강암을 촉진하는 새로운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산화스트레스를 통한 전사조절(발암 유전자의 발현 증가)로 구강암의 증식을 촉진하는
경로
를 밝혔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항암제 단서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구강암 세포주를 이용한 단백질 생화학실험을 통해 단백질 'TM4SF19'가 흡연 및 음주에 의해 유도된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두 개의 분자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국내 연구진, 뇌속 노폐물 청소
경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27
배출되는 뇌척수액의 양보다 1.8배 많았다. 비인두 림프관망이 뇌척수액 배출의 주요
경로
라는 의미다. 비인두 림프관망은 노화에 따라 퇴화했다. 그러나 비인두 림프관망과 연결된 목 림프관은 노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에 목 림프관을 둘러싼 근육세포인 평활근세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것으로 추정되는 유골의 주인에게서 얻은 유전자를 바탕으로 이들의 이주
경로
를 재구성했다. 이와 함게 얌나야족의 유전자와 현대 유럽인의 유전자를 비교해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유전자 변이가 언제 등장했는지 살폈다. 현대인의 유전자 정보는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43만3395명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알아내서 감염병 치료에 이용하고 있다는 것도 대단한 일이다. 항생제는 언제 어떤
경로
로 발견되었을까. 19세기 초 위생운동을 전개한 에드윈 채드윅. 위키미디어 제공 ● 항생제 발견의 선구자들 18세기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나자 공장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도시 인구가 많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