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적
훈공
공
성공
보람
수훈
한길
스페셜
"
공로
"(으)로 총 2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UST 1호 명예박사 학위 수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1
귀감이 되고, 그동안 학교와의 다양한 협력으로 연구 개발 및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
를 평가했다"고 말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오후 2시 '2025년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25년도 투자방향(안)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하여 지발성바이러스(slow virus)라 이름붙였다. 가이듀섹은 이
공로
로 197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고, 공동수상자로 선정된 블럼버그(Baruch S. Blumberg, 1925-2011)의 업적인 B형 간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도 감염 후 발생까지 꽤 긴 시간이 걸리므로 노벨상 선정위원회에서 짝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맡은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면서 여러 가지 항생제를 발견했으므로 책임자인 왁스먼의
공로
를 크게 인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자가 특허를 출원하고 유지하는 것처럼 자신의 전문분야 이외의 일에 시간을 쏟는 것은 학문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사건 이후로 미국에서는 학교가 나서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신호가 발생한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아뎀 파타푸티언 교수는 2010년 Piezo2를 발견한
공로
로 202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 따르면 피부에 아무것도 닿지 않고 단지 각질층이 건조해지는 것만으로도 메르켈세포의 막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변형력이 발생한다. 얼굴 피부 ... ...
[사이언스게시판] IBS, '국제 가속기 및 빔 이용 컨퍼런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싱크탱크인 KISTEP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직원들의 업무를 효율화하는 데 힘써온
공로
를 인정받았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7일부터 10일까지 국제도량형위원회(CIPM) 산하 물질량자문위원회(CCQM)의 연례 가을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CIPM은 전 세계 측정표준을 관장하는 국제기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무지 반갑지 않은 빈대의 귀환
2023.10.25
을 전파하는 이는 물론 빈대와 벼룩의 퇴치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했다. 뮐러는 그런
공로
로 194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DDT는 1945년부터 농약으로 공급되었고 1955년부터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전 세계에 DDT를 대량 살포하는 사업을 시작했다. 경제적으로 넉넉하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HIV라 부르기 시작했다. 지누시와 몽타니에는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발견한
공로
를 인정받아 2008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1985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 그 해에 HIV를 지닌 3명의 환자가 발견되었으며 그 후로 지금까지 꾸준히 환자가 늘어나서 최근에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2020년에는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제니퍼 A.다우드나가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의
공로
로 ‘화학상’을 수상하기에 이르렀다. 올해의 화학상 수상 업적인 ‘양자점’도 물리학상의 업적이라고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변화가 화학의 정체성이 빠르게 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수상한 베링(Emil von Behring)은 디프테리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이것도 일종의 백신에 해당하는 것이었으며 20세기 100년간 수십가지 백신이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되어 과거에 인류를 괴롭힌 수많은 감염병이 이제는 더 이상 큰 문제가 되지 않고 있다. 백신의 종류가 ... ...
[과기원NOW] 김학성 KAIST 명예교수 '2023 효소공학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진화 및 컴퓨터 기반 설계를 통해 효소를 효율적으로 창출하는 기반 기술을 개발한
공로
를 인정받았다. 그는 60편 특허를 등록하는 등 국제적으로 괄목할 업적을 이뤘고, 효소를 이용한 정밀화학 및 의약품 생산 기술을 산업체에 기술 이전해 관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시상식은 내달 1~6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