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스페셜
"
그림
"(으)로 총 6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2만4000년 전부터 야생 벼의 씨앗, 즉 쌀을 채집해 먹기 시작했다(아래 오른쪽에서 두 번째
그림
으로 색 표시는 오류다(자생이므로 파란색으로 나타내야)). 그 뒤 마지막 아빙기(BA. 분홍색)를 겪으며 약 1만3000년 전부터 야생 벼를 재배했고(아래 왼쪽에서 두 번째) 홀로세가 시작한 직후인 약 1만1000년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어린이과학관, 유아 감성형 과학도서 해설프로그램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가 병원에서 뒤바뀐 소동을 다룬다. 구연 내용은 '얼큰이와 코뿔이'라는 공상과학(SF)
그림
책으로도 출간된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국산 거대언어모델(LLM)을 탑재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자율주행로봇 '나르고'를 17일부터 창의나래관에서 상설 전시한다고 16일 밝혔다. 나르고는 자율주행 로봇 기업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다. 사람 옥시토신 신호 경로에 관여하는 154개 유전자의 등장 시기를 나타내는
그림
으로, 20개 계통층서(phylostrata. PS)에 넓게 분포한다(숫자가 각 PS에서 등장한 유전자 수). 옥시토신 유전자는 12번째 PS인 약 5억5000만 년 전 초기 척추동물에서 등장했다. 커뮤니케이션스 바이올로지 제공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1632~1723)이 현미경으로 세균을 최초로 본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는 그냥 보이는 대로
그림
을 남겼을 뿐이다. 1830년대에 식물과 동물이 세포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하는 등 19세기에 현미경을 이용한 발견이 크게 발전하면서 19세기 중반이 되자 뭔지는 모르지만 현미경으로 보지 않으면 보이지 않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치우는 물리적인 방법이 가장 직관적이다. 그러나 복잡한 도심에서는 물리적 제설이
그림
의 떡이다. 도로를 가득 메우고 있는 자동차와 보행자들 그리고 온갖 도로 시설물 때문에 제설차의 운행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제설차로 밀어낸 눈을 쌓아둘 공간도 없다. 값비싼 제설 장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단백질 제조)할 때 합쳐지므로 각각의 구조를 밝힌 한 사람씩 뽑아 노벨상을 주면 좋은
그림
이 되겠지만 독자적으로 작은 단위체 구조를 밝힌 두 사람이 다 받고 대신 리보솜 구조를 밝힌 사람은 못 받은 건 그만큼 라마크리슈난의 업적이 뛰어남을 보여준다(만일 각 구조에 한 명씩 줬다면 작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assembly index)는 구성요소(building block)에서 어떤 분자를 만드는 최단 경로의 단계 수다.
그림
에서 에탄올(아래 왼쪽에서 두 번째)의 조립지수는 1이고 디에틸프탈레이트(observed)는 8이다. 네이처 제공 책에서 위의 구절을 읽다가 문득 ‘이 사람 얼마 전 좀 읽다가 포기한 논문의 저자 아닐까’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피부 맨 바깥에 있는 죽은 각질세포(corneocyte)로 이뤄진 각질층(stratum corneum)을 도식화한
그림
이다. 신시내티대 제공 기저층은 꾸준히 각질형성세포를 만들고 이전 세포들은 밀려 올라가며 변형된다. 점차 납작해지고 케라틴 단백질 함량이 늘어나고 수분 함량이 줄어들다 결국 세포핵이 파괴돼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밝은 금색으로 색칠된 부분이 있다. 뇌 깊숙한 부분에 있는 시상하부를 표현한 것이다.
그림
에선 시상하부에서 뻗어나온 가지들이 뇌의 구석구석을 지나 뇌 바깥까지 이어지고 있다. 중간뇌의 앞, 뇌줄기의 위, 시상의 밑에 위치한 시상하부는 뇌에 존재하는 작은 구조물이다. 작은 부분이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최초의 기록이 있다. 당시 당근은 주황색이 아니라 노란색이나 자주색이었다고 하고
그림
에도 그렇게 묘사돼 있다.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니콜라스 마스의 유화 작품 ‘채소 가게’(1655-65). 당근이 옅은 노란색과 자주색으로 묘사돼 있다. 원예연대기 제공 오늘날도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