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스페셜
"
끝
"(으)로 총 9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검사를 하는 동안 위 벽에 뭔가 특이한 게 보이는 경우 조직검사나 치료를 위해 내시경
끝
에 작은 칼이나 집게 같은 기구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위의 용종을 떼어내는 경우처럼 실제로 시행되는 이 방법은 과거에 칼을 사용한 외과 대신 내과의사들이 시행한다. 의사가 직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외직구 논란…암, 절반 이상은 원인도 몰라
2024.05.29
녀석은 잽싸게 달아났다. 그런데 잘린 꼬리가 꽤 길어 내심 놀랐다. 하긴 꼬리가 아까워
끝
만 희생하면 천적의 주의를 돌리지 못할 것이다. 그런데 주의를 돌리는 방법이 꼬리 자르기만 있는 게 아니다. 어떤 문제가 생겨 주목을 받을 때 더 큰 문제가 터지면 관심이 옮겨가며 자연스럽게 뒷전으로 ... ...
[과기원NOW] 포스텍, '아이스 아메리카노'에서 영감 얻어 전기전도도 우수한 금속유기 구조체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전자나 반도체 분야 공정에서 중요하다. 연구팀은 커피 분말이 물에 고르게 녹아야
끝
까지 커피를 맛있게 즐길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MOF를 고르게 녹일 수 있는 화학적 작용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11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박상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내시경으로 인체 내부를 들여다본 후 뭔가 제거해야 할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내시경
끝
에 달린 칼로 잘라내곤 하므로 수술 여부가 절대적으로 내과와 외과를 구분하는 기준은 아니다. 고대에서 중세에 이르기까지 의학이 발전하면서 “의사”라는 직업이 등장했다. 이들이 주로 하는 일은 약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일은 많지 않다. 되려 즐거움만 있지는 않았지만 큰 의미가 있었던 사건들, 힘겨운 시간
끝
에 새 삶을 살게 된 경험 같이 어느 정도의 기쁨과 의미감이 함께 존재하는 경험들을 뜻 깊었다고 이야기한다. 참고로 긍정적 정서만 있지는 않지만 의미감이 큰,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가장 소중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밤의 구분을 명쾌히 하기 위해 하루 24시간의 시작이 자정이 아니라 해 뜨는 시점이고
끝
이 다음날 해 뜨기 직전로 배치했다(위에서 아래 방향). 사이언스 제공 ●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조슈아 젠드론 미국 예일대 교수팀은 쌍떡잎식물의 모델인 애기장대에서 특이한 돌연변이체를 발견했다. 장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비 511배 증가에 의사수 7배 늘어?…통계의 함정
2024.03.13
빠져나갈 수밖에 없다. 상위권 대학에만 문제가 생기는 것도 아니다. 입학시험이
끝
난 후에도 전국의 모든 대학이 재학생들의 연쇄 이동으로 감당할 수 없는 몸살을 앓게 될 것이다. 사교육 카르텔의 배만 잔뜩 불려주는 보건복지부의 설익은 의료개혁은 손질을 할 수밖에 없다. 응급실 뺑뺑이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변질되고 말았다. 출연연의 기관장 선임 과정마저 실종되어 버렸다. 임기가
끝
난 기관장이 퇴임을 하지 못하는 인사 난맥상이 계속되고 있다. 분명한 이유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과기부와 대통령실이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을 뿐이다. 이제는 과학기술의 핵심 분야인 의료계에 대한 국민적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
2024.01.27
했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공부하고 휴식을 취한 조건에서는 공부 시작 시간과
끝
을 알리는 알람이 울리도록 했다. 그 결과 학생들에게 본인이 알아서 시간을 조절하게 했을 때보다 25분이든 12분이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열심히 일을 하고 이후 5분이든 3분이든 역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것은 아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타원형 궤도에서 분명하게 구분되는 시작과
끝
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어느 날을 시작점으로 선택하는지에 상관없이 지구가 365일에 태양을 한 바퀴 돌고 나면 같은 계절이 되돌아온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설날은 천문학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