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또 하나의 자기"(으)로 총 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힘든 경험'이 자신 전부를 설명하지 않는다2023.11.25
- ‘생존자’로 규정하는 사람들이 더 적응적인 모습을 보이는 편이다. 또한 자신에게는 특정 사건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모습들이 있지만 이것이 ... 자신을 구성하는 일부일 뿐 전부가 아니라는 이야기였다. 우리가 자기 자신을 어떤 사람이라고 정의하는 데에는 자기예언적 효과가 따른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비판받으며 자란 아이, 자기 비난 키운다2023.11.11
- 어른이든 아이든 세상에 완벽한 인간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나’ 또한 그러하다. 혹시 자기 자신에게도 주변 사람들에게도 날을 세우고 살아가는 편이라면 혹시 나의 기준이 지나치게 높은 것은 아닌지 생각해보는 것도 좋겠다. Amitay, O. A., Mongrain, M., & Fazaa, N. (2008). Love and control: Self-criticism in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잘못 인정할 줄 알아야 '진짜어른'2023.09.30
- 절대 굽히거나 사과하지 않는 모습에도 일면 자신의 사회적 이미지 또는 체면을 생각하는 마음이 숨어 있다. 꼰대질은 나이를 헛되게 먹은 것이 아니며 그간 많은 내공을 쌓았다는 과시와 자기 확인이 이루어지는 통로인 것이다. 하지만 이와 반대로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오만한 사람보다 겸손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2023.09.16
- 모이면 큰 물결이 될 수 있다는 희망을 퍼트릴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위생수칙을 지키거나 백신을 맞는 행동의 큰 원동력 중 하나가 자기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지킬 수 있다는 믿음이다. 손을 씻거나 주사를 맞는 작은 행동으로 나보다 약한 사람들을 지켜낼 수 있다고 믿는 ...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2023.07.28
- 들어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LSD나 실로시빈의 경우 세로토닌 관련된 분자기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작동기전이 존재한다는 것이 새롭게 보고되었다. 핀란드 헬싱키대의 플리니오 카사로또(Plinio C. Casarotto) 및 이에로 카스트렌(Eoro Castren) 교수 연구팀은 LSD와 실로시빈이 시냅스 가소성을 조절하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2023.07.15
- 걱정과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한 자신의 정서적, 신체적 반응에 대해 또 다시 생각과 평가를 함으로써 2차로 추가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만다. 물론 ... 이렇게 현실은 평온한데도 무엇보다 내 마음이 시끄러워서 삶이, 자기 자신이 버거운 사람들이 적지 않다. 때문에 “마음챙김(mindfulness)”이라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낯선 칭찬의 소중함2023.06.10
- 진심으로 기뻐하며 고맙다고 이야기하는 나를 발견한다. 다들 자기 살기에도 바쁘고 갈 길도 바쁠텐데, 그 짧은 틈새에 자신과 상관 없는 ... 통해 칭찬을 “받은” 사람들이 실제로 얼마나 기쁘고 즐거워졌는지, 또 얼마나 기분이 나쁘고, 어색하고, 불편하게 느껴졌는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2023.06.03
- 사실을 받아들이기, 내가 겪는 어려움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기, 자기 자신에게 따듯한 태도를 가지기 등이 있다. 다행스러운 사실은 이들 ... 나의 힘으로 통제할 수 없는 것이지만 이렇게 마음을 다잡고, 내일 또 다시 무너질지언정 지금 이 시간을 잘 보내는 일은 어느 정도 나의 힘으로 할 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나친 완벽주의자는 우울하고 외롭다2023.05.27
- 걱정과 강박(실수에 대한 지나친 걱정, 높은 기대치와 현실 간의 큰 차이, 자기 비난, 자신을 향한 의심), 또 완벽을 추구하는 것(높은 기준)이 함께 나타나는 특성이다. 작게라도 흠집이 나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아무래도 우울증상과 관련이 있을 것 같지만 완벽을 향해 노력하는 것은 우울과 ...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2023.03.24
- 하나가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인데, 스트레스 등과 같은 기억 소멸 또는 공포기억의 ‘억제기억’ 형성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전전두피질의 ... 실험동물에서도 구현한 사례를 통해 기억의 유연성을 담당하는 분자기전도 추측해볼 수 있다. 매우 다양한 방향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그 중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