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니콜
핸드폰
스페셜
"
모바일폰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삼성전자·SK텔레콤·현대모비스 센서 선도기업 민간 R&D협의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압력 센서는 로봇에게 촉감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ETRI 제공 삼성전자와 SK텔레콤, 현대모비스 등 국내 주요 전자·통신·자동차 부품기업들이 참여하는 민간 센서 연구개발(R&D) 협의체가 구성된다. 올해 하반기까지 구체적인 R&D 투자방안과 정부 R&D 수요를 발굴한다는 계 ... ...
시스템반도체 R&D에 올해 2400억원 투입…“제2 D램 신화 이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1
Pixabay 제공 정부가 올해 시스템반도체 연구개발(R&D)에 2400억 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3개 부처는 1일 ‘시스템반도체 기술혁신 지원 방안’을 공동으로 발표하고 전력 반도체, 차세대 센서,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3개 유망 분야를 집중 육성하는 R ... ...
대기업부터 중스타트업까지…한국 기업들 CES 2021 주도한다
연합뉴스
l
2021.01.11
'첨단 기술의 장' CES 첫 온라인 개최…중국 대거 빠지며 한국 부상 삼성·LG전자 홈코노미 혁신 가전 경쟁…차세대 디스플레이·모빌리티도 11일(미국 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사상 처음으로 온라인 개최되는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 'CES 2021'을 한국 기업들이 주도할 전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 ... ...
[랩큐멘터리]인간을 대신해 반도체 집적도 해결할 이상적인 설계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29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 같은 전자 장치의 소형화는 반도체의 집적도 향상을 끊임없이 요구한다. 하지만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소자를 작게 만들면 고질적인 발열 문제와 누설 전류 문제가 발생하고 공정도 어려워진다. ‘반도체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이 계속 ... ...
국가간 통행증 '백신 여권' 과연 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전 세계 곳곳에서 시작되면서 백신 접종 여부를 여권화하자는 '백신 여권' 개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코먼패스 제공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27개국 등 여러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 백신 접종에 돌입하면서 접종을 증명하고 국가간 출입국에 ... ...
깨져도 스스로 복구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연구진이 개발한 소재의 꼬임 실험을 하고 있다.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균열이나 손상된 기능을 스스로 복원할 수 있는 자가 치유 투명 전자소재를 개발했다. 기술을 응용하면 스마트폰 액정이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용채 ... ...
"코로나 대응할 AI개발 너무 느려…건강데이터 실시간 수집해야"
연합뉴스
l
2020.11.12
하버드대 쿵샹중 교수 삼성SDS 개발자 행사 기조연설 [화상회의 캡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같은 전염병에 대응할 인공지능(AI)의 개발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건강 관련 데이터를 수집·학습하는 모바일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미국 하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물고기 눈의 구조를 모방해 120도의 넓은 시야각을 가지면서 작고 가벼운 초광각 카메라가 개발됐다. 사진은 이 카메라를 이용해 원본 그림(작은 사진)을 관찰한 이미지다.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논문 캡쳐 스마트폰과 몸 속을 들여다보는 내시경, 빠르게 기동하는 드론이나 자율주행차에서는 작지만 ... ...
감염성 병원균 눈으로 보고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정현정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오른쪽)와 연구팀이 진단 키트를 살펴보고 있다. KAIST 제공. 감염성 병원균을 육안으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이후에도 다양한 감염병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는 가운데 의료시설 접근이 ... ...
눈에 착용했더니 "당신의 스트레스는 20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박장웅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연구팀은 스트레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 IBS 제공 눈에 끼우기만 하면 스트레스 정도를 실시간으로 읽어내는 콘택트렌즈가 개발됐다. 박장웅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연구위원(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