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스페셜
"
밀도
"(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형성된 가스와 먼지들이다. 별을 형성하는 가스구름이 수축하면 가운데를 중심으로
밀도
가 높아지고 둘레에 있는 물질은 낙하한다. 물질들은 낙하하면서 빠르게 회전하는데 이를 통해 원반과 닮은 분포 형태가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최근 지구에서 약 16만 광년 떨어진 마젤란은하의 어린 별 'HH117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이 둘은 구조가 호르몬과 비슷해 소장 세포의 호르몬 수용체에 달라붙어 간에게 저
밀도
지질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을 만들라는 신호를 보낸다. 놀랍게도 필터 없이 추출한 커피에는 필터를 쓴 커피에 비해 두 분자가 30배나 들어 있다. 건강검진에서 필자의 LDL 수치가 정상 범위를 살짝 넘는 게 ... ...
[과기원NOW] KAIST, 기존 백금계 촉매 대체 고성능 원자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7
양성자교환막(PEMFC) 연료전지에서 기존에 개발된 Fe-N-C촉매보다 44% 향상된 높은 전력
밀도
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13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양지웅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고 성능의 외부 전원이 필요 ... ...
[표지로 읽는 과학] 45억 년 전 원시 지구 '거대한 충돌'의 증거
동아사이언스
l
2023.11.04
내부에 주변부와 다른 이질적 물질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지진파가 느려진 부분의
밀도
는 주변에 비해 약 2.0~3.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것이 테이아와의 충돌로 인해 녹은 지구 지각층과 맨틀의 일부와 테이아의 파편이 섞인 어떤 물질인 것으로 추측했다. 그러면서 이 물질이 약 4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보니
밀도
가 높아서 감염병 발생시 전파가 아주 용이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 높지 않은
밀도
를 유지하면서 자연에서 살다 보면 감염병의 전파도 쉽지 않을 텐데 좁은 공간에서 가축을 사육하다 보니 감염병이 한 번 유행했다 하면 몰살될 수도 있는 환경이 갖추어진 것이다. 돼지에게서 새로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우린의 재발견
2023.06.14
건강수명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체지방 증가가 억제되고 혈당수치가 떨어지고 골
밀도
가 개선되고 기억력이 좋아진다. 심지어 노화와 관련한 심리 지표인 불안이나 우울증에 해당하는 행동도 줄어든다. 타우린은 세포호흡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에 들어가 특정 tRNA의 안티코돈 염기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6.11
인간의 활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러나 도심 지역이나 인구
밀도
가 매우 높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봉쇄 기간 동안 동물들의 이동 거리가 12%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 이유에 대해 야생 동물들을 자극하는 인간들의 활동이 줄어들어 동물들이 도망가는 거리가 줄어들었기 때문인 ... ...
[과기원은 지금] 예경무 DGIST 교수팀, 암 악액질 약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단광자 순도가 낮거나
밀도
를 조절하기 어려워 외면받던 고
밀도
양자점 시료들에 대해서 고성능 양자광원을 맞춤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지난달 22일 공개됐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사라진 꿀벌' 돌아오게 하려면 헛개나무 심어야
2023.04.14
모두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이다. 국내 양봉산업의 규모는 매년 가파르게 증가해 봉군
밀도
가 높아지고 있으며, 아까시나무에 매우 의존적인 양봉구조로 인해 양봉산업계는 다양한 시기에 개화하는 꽃샘식물의 식재에 소극적이었다. 이와 같은 국내외 양봉산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꿀벌을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커지다 약 35km 높이에서 지름 6m까지 부풀어 터진다. 고도가 올라갈수록 주변 공기의
밀도
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라디오존데는 이후 지상으로 낙하하지만 별도로 추적하지 않는다. 일회용이다. 송태준 기상청 관측정책과 주무관은 “과학기구 하나를 발사하는 데 대략 20만 원에서 25만 원 정도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