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백과사전"(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한국지질도' 개정판 발간 外동아사이언스 l2020.10.23
- 한국지질도' 개정판.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제공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우리 땅의 백과사전에 해당하는 ‘한국지질도’ 개정판을 발간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개정판은 1995년 3차 개정판 이후 24년 만이며, 100만 분의 1 축적으로 제작됐다. 지질도에는 최신 지화학 분석과 연대측정 기법 등을 ... ...
- [고쳐 쓰자, 과학용어](3)'과학자의 언어'를 '대중의 언어'로 바꾸려면2020.10.16
- 있다고 응답한 19%(4명)도 대학 전공서에서 사용하는 한글 표기, 포털에서 제공하는 백과사전, 학회 등 제각각이었다. 한 응답자는 “잘 모르는 과학용어가 나오면 사전부터 검색한다”며 “그마저도 안 되면 해당 연구자에게 표기법에 대한 조언을 구한다”고 말했다. 과학용어 표기를 표준화해야 ... ...
- 딱딱한 문어체 글만 잘 읽던 AI, 이젠 구어체가 더 편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2020.08.06
- 정확도가 각각 96.80%, 89.40%로 올라갔다. 임준호 ETRI 책임연구원은“기존 기술이 주로 백과사전과 법령을 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꾸준히 구어체 분야에서도 활용됐다”며 “구어체 언어분석 API 공개로 언어분석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높여 국내 AI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고 ... ...
- [표지로 읽는 과학] '비번역 DNA 비밀 푼다'동아사이언스 l2020.08.01
- 발현과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DNA의 상호작용을 밝히기 위해 ‘엔코드: DNA 원소 백과사전’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미국 국립 인간게놈연구소의 지원 하에 전 세계 32개 연구팀, 442명의 과학자들이 참가하고 있다. 2007년 프로젝트의 1단계 연구결과가 나왔다. 1단계 연구는 일종의 파일럿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전자기학의 완성2020.07.09
- 애썼다. 맥스웰 자신이 에테르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기도 했었다. 1878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에테르 항목을 작성했는데 거기에 에테르의 성질, 역할 등을 기술하며 실험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도 제시했다. 지구가 우주에 퍼져 있는 에테르 속을 날아다니니까 지구 표면에 있는 우리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2020.04.16
- 떠돌이 생활을 하는 와중에도 수많은 책을 썼는데, 대표적인 책이 《의학정전》이다. 백과사전식의 《의학정전》은 총 5권으로 생리학, 위생학, 병리학, 치료학, 약물학을 각각 다루고 있다. 《의학정전》은 17세기까지 유럽 의학의 기본서로 사용되었고 프랑스에서는 19세기,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는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2020.02.05
- 있다.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해주는 양은 냄비를 애써 멀리할 이유는 없다는 뜻이다. 백과사전도 바로 잡아야 한다. 우리가 섭취하는 거의 모든 식품에는 미량의 알루미늄이 들어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 ... ...
- [인류와 질병]인간이 겪는 최고의 고통, 출산은 어떻게 진화했나2019.11.23
- 즉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가 저술한 1세기 경의 백과사전 《박물지(Naturalis Historia)》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플리니 장로는 카이사르 황제의 선조 중 한 명인 카이사르가 제왕절개로 태어났다고 기술했다. 우리가 아는 황제 카이사르와 다른 인물이다. ... ...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외계행성은 무엇인가동아사이언스 l2019.10.08
- 발달과 함께 그 수가 급격히 늘고 있다. 프랑스 파리 천문대가 운영하는 ‘외계행성 백과사전’에 이달 7일 기준 등재된 외계행성 수는 4118개다. 이 사전에 등재된 외계행성 수는 2012년만 해도 853개였으나 지난해 6월 2840개를 넘겼고 올해 3월에는 4000개를 돌파했다. 이 중 절반 이상은 ... ...
- [사이언스N사피엔스]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보다 신성하다2019.09.05
- 자신만의 의학으로 융합시켰다. 중세 최고의 임상의학자로 불리는 알 라지(854~925년)는 백과사전식 《총서》를 출판했다. 그보다 한 세대 뒤의 이븐 시나는 ‘아랍의 아리스토텔레스’라 불릴 만큼 모든 분야를 두루 섭렵한 ‘학문의 왕’이었다. 특히 그가 편찬한 《의학정전》은 당시까지 알려진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