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비밀장소"(으)로 총 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2020.08.13
- GET 컨퍼런스에서 한 연사가 1953년 DNA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직후 모형을 설명하는 프랜시스 크릭(오른쪽 위)과 이를 올려다보는 제임스 왓슨(왼쪽 위)의 모습이 담긴 유명한 사진을 스크린에 비추자 올 해 82세인 왓슨(왼쪽 아래)이 사진속의 크릭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크릭은 88세인 2004년 사망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그들은 왜 코로나19가 기적적으로 없어진다고 믿는걸까2020.08.08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19 관련 브리핑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 UPI /연합뉴스 제공 “신이 나를 지켜주시기 때문에 마스크나 사회적 거리두기는 필요 없다.” 미국의 경우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걸린 확진자 수가 500만 돌파를 ...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2019.09.21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바이킹은 다발성 경화증을 많이 앓았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래도 썩 나쁜 선택은 아니었다. 장수를 얻었으니 말이다. (☞[인류와 질병] 이전 글 보기 ) 수명이 가장 긴 나라는 일본과 한국 등이지만 스칸디나비아반도의 여러 나라도 만만치 않다. 전통적인 장수 국가다. 게다 ...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우주산업을 이끄는 리더들, 그들의 뒷이야기(상)동아사이언스 l2019.09.13
- 2019 코리아스페이스포럼이 7월 18일부터 3일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렸다. 민간 주도의 우주개발시대를 조망하는 글로벌 우주포럼 ‘코리스페이스포럼 2019’가 3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달 20일 폐막했다. 3일간의 일정 동안 학계, 산업계, 연구계, 스타트업, 벤처캐피탈, 일반인 등 총 1000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2019.07.04
- 과학을 통해 사회변화를 꿈꾸었던 만월회(Lunar society)에는 증기기관차를 기술적으로 개량한 제임스 와트와 이를 서포트해주는 투자자 메튜 볼턴이 있었다. 사진은 그들이 정기적으로 만났던 장소. 위키피디아 제공 18세기 중반, 영국의 버밍엄이라는 도시에서, 보름달이 뜨는 밤이면 과학을 중심으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추운 겨울이 가고 싱그러운 봄이 왔음을 가장 먼저 알리는 것은 단연 봄꽃이다. 산수유를 시작으로 매화, 목련, 진달래, 개나리, 벚꽃이 산과 들에 흐드러지게 필 때 봄은 절정을 이룬다. 식물은 어떻게 봄이 온 것을 알고 일제히 꽃을 피울까? 이 질문의 답은 쉬워 보이지만 사실 과학자들에겐 수십 ...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IBS l2014.10.08
- "우리가 두뇌를 이해할만큼 두뇌가 단순했다면, 우리는 너무 단순해서 두뇌를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생물학자인 라이얼 왓슨이 남긴 말이다. 왓슨은 뉴에이지에 경도된 면이 있어 호불호가 갈리는 사람이기는 하지만, 그의 말은 뇌가 얼마나 복잡한 기관인지 보여준다. ... ...
- [Keyword로 읽는 과학] 좀비가전, 냉장고 문이 저절로 스르륵?!KISTI l2014.03.19
- 이런 냉장고 어떤가? 양손에 반찬통이라 문 열기가 어려우면 알아서 척척 문을 열어주는 냉장고. 김치면 김치, 회면 회. 넣은 칸마다 음식에 따라 온도를 맞춰서 바꿔주는 냉장고. 20세기까지 냉장고는 그저 음식을 상하지 않게 보관하는 장소에 불과했다. 하지만 냉장고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점 ... ...
- 도청의 세계 ③ 도청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을까 KISTI l2014.02.20
-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인류의 생활은 훨씬 편리해졌지만 남이 나의 이야기를 엿들을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함께 커졌다. 통화나 대화의 내용을 가로채는 ‘도청’ 때문이다. TV 드라마에서는 비밀이 새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탁 트인 공원 벤치를 찾아 정보를 교환하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집 ... ...
-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 [제11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다. 무심코 듣던 팝송에 이렇게 많은 과학이!? 그래서 뭉쳤다! 수능 영어의 전설! 김.찬.휘. 그리고 10만 독자를 자랑하는 어린이과학동아 편집장! 김.원.섭. 얄팍한 과학본능으로 썰을 푸는 두 아저씨의 유쾌한 팝송 이야기! 이제 싸이팝연구소에서 만나볼 수 있습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