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위
별자리
성좌
포치
음운
어운
은하
스페셜
"
성운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천체 사진 첫 공개...바이든 대통령 맛보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2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결과가 정식 공개된다. 남반구 별자리인 용골자리에 있는 대
성운
과 태양계 밖 외계 거대 행성 WASP-96 등 제임스 웹의 공식 과학 임무 목록인 첫 관측 천체 5가지를 발표한다. NASA는 “NASA TV를 통해 생중계 된다”고 밝혔다.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첫 풀 컬러 사진, 바이든 대통령이 공개하기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7.11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첫 관측결과가 공개된다. 남반구 별자리인 용골자리에 있는 대
성운
과 태양계 밖 외계 거대 행성 WASP-96 등 제임스 웹의 공식 과학 임무 목록인 첫 관측 천체 5가지를 발표한다. NASA는 “NASA TV를 통해 생중계 된다”고 밝혔다. ... ...
[화보]서울 밤하늘에 나타난 '하트
성운
'
동아사이언스
l
2022.05.18
밝은 부분과 암흑대가 나무기둥과 가지이고 겨울철 육각형을 이루는 별과 주변의 여러
성운
성단들이 크리스마스 트리의 장신구와 흡사하다. 천문연 제공 은상 조영훈 씨의 '은하오름'. 2022년 2월, 호주 서부에 위치한 그레이스 레이크에서 우리은하가 솟아 오르는 모습을 촬영한 작품. 천문연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은하수 형성의 비밀 풀 25만개 별 나이를 측정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26
은하수를 촬영한 사진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은하수는 밤하늘에 보이는 회백색의
성운
이다. 수많은 별들이 모인 형태로 은빛으로 빛나며 흐르는 강처럼 보인다고 해 은하수라 이름 붙었다. 은하수와 같은 은하가 어떻게 형성됐는지 이해하려면 은하에 포함된 별에 대한 정확한 나이 측정이 ... ...
한일 연구진,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에 사용될 관측장비 공동개발…첫 시험관측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3.23
얻을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지난 2월 알마에 분광기를 설치해 첫 시험관측으로 오리온
성운
의 심장부에 위치한 ‘KL지역’을 관측했다. 연구팀은 KL지역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알마 망원경으로 수신하고, 분광기를 통해 일산화규소(SiO) 분자가 내는 86기가헤르츠(GHz) 메이저 스펙트럼을 얻는 데 ... ...
우주 기원 찾는 최첨단 눈 ‘제임스웹’ 25일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3
관측하는 허블망원경과는 달리 가시광보다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성운
과 먼지에 가려 보이지 않는 천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며 "특히 우주 탄생 초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멀리 떨어진 은하는 적외선으로만 관측할 수 있어 우주 탄생 초기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 ...
우주 기원 찾는 새 추적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다음달 우주로
동아사이언스
l
2021.11.19
관측하는 허블망원경과는 달리 가시광보다 긴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관측하기 때문에
성운
과 먼지에 가려 보이지 않는 천체의 모습을 볼 수 있다"며 "특히 우주 탄생 초기의 모습을 보여주는 멀리 떨어진 은하는 적외선으로만 관측할 수 있어 우주 탄생 초기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 ...
태양계 50억년 뒤 '미래' 백색왜성 도는 목성급 행성 첫 발견
연합뉴스
l
2021.10.14
올라 적색거성이 되는 과정에서 주변 행성을 파괴하며, 이후 표면층 물질을 행성상
성운
으로 방출하고 핵만 남아 지구 크기에 질량은 절반으로 줄어든 청백색의 별인 백색왜성이 된다. 연구팀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의 W. M. 켁 천문대에 설치된 10m 구경 망원경의 레이저 유도 항성 적응 광학 ... ...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https://youtu.be/WY8J8hFHhiw 파란고리
성운
의 3차원 형태를 보여주는 일러스트 동영상이다.
성운
중심에는 가스가 희박하고 지구에서 보는 방향도 절묘해 중심의 병합된 별을 먼지가 가리지 않아 관측이 가능했다.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 ... ...
태양은 외롭게 태어나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9
주변에 무거운 이웃 별이 있어서 강력한 자외선을 쪼였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카리나
성운
의 별 탄생 영역인 NGC 3324을 촬영한 허블우주망원경 영상이다. 태어난 무거운 별들이 강한 자외선 빛을 비추면서 분자구름을 깎아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분자구름의 산소동위원소 분포를 변화시킨다. 흰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