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업적"(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부, 2024년도 과학기술유공자 지정 착수 外동아사이언스 l2024.04.29
- 경제·사회 발전에 현저히 이바지한 사람, 세계적인 수준의 과학기술상 수상자 등 학문적 업적이 현저한 사람 등이다. 후보자 신청이나 추천은 과학기술인 본인 혹은 유족, 또는 과학기술 관련 단체장이 할 수 있다. 발굴·공모된 후보자는 3단계 심사와 공개 검증 등을 거쳐 연말 지정 여부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2024.03.31
- 공부하고 의업에 종사하는 이들에게서 외과의학도 같은 학문으로 인정받게 한 것이 그의 업적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Raffi Gurunluoglu 1, Aslin Gurunluoglu, Hildegunde Piza-Katzer. Review of the “Chirurgia” of Giovanni de Vigo: estimate of his position in the history of surgery. World Journal of Surgery 27(5):616-23, 2003 쿤트 헤거. 삽화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2024.03.03
- 제멜바이스처럼 두 집단은 물론 의사와 일반인들에게까지 비난을 받았다. 이것이 그의 업적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고 조용히 사라져 버린 이유다. 올리버 웬들 홈즈. 위키미디어 제공 ● 미국에서 무균처리법을 처음 주장한 시인(?) 미국에서 산욕열 예방법을 주장한 홈즈(Oliver Wendall Holmes, 18 ...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퀀텀고리아 2024 조직위원회 출범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29
- 하태열 교원 등이다. UST 명예교수는 UST 교원으로 15년 이상 재직하고 재직중 교육·학술 업적이 매우 커 타 교원의 모범이 되는 사람, 재직기간이 15년 미만이더라도 대표교수 등 보직을 역임한 사람, UST 총장을 역임한 사람을 대상으로 추대한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2024.02.17
-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고, 공동수상자로 선정된 블럼버그(Baruch S. Blumberg, 1925-2011)의 업적인 B형 간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도 감염 후 발생까지 꽤 긴 시간이 걸리므로 노벨상 선정위원회에서 짝을 맞춘 것으로 생각된다. 프리온 병중 가장 흔한 크로이츠펠트-야곱병. 위키미디어 제공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2024.02.04
- 앞서간 학자라는 평가를 받고 ‘의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에 걸맞게 그가 남긴 훌륭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길이가 약 2,000자 정도에 이른다. 따라서 역삭적으로 의과대학 졸업식에서 졸업생들이 선서를 한 예가 있기는 하지만 길어서 시간이 많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2024.01.24
- 발표했다. 리보솜 구조를 밝히는 건 생명과학의 위대한 성취이지만 의학에서도 중요한 업적이다. 항생제 절반이 박테리아의 리보솜에 작용해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구조 연구로 특정 항생제가 리보솜의 어느 부위에 개입해 기능을 교란하는지 명쾌히 밝히면 항생제 내성이 생기는 이유와 새로운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2023.12.17
- 입증된 후부터 플레밍은 매스컴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인터뷰 등을 통해 자신의 업적을 잘 이야기한 것이 인터뷰를 자주 거절한 플로리와 체인보다 더 이름이 잘 알려지는 결과를 낳았다. 194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3명이 발견한 페니실린은 곰팡이로부터 세균에 의한 감염병을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2023.11.19
- 이 수술이 세계적으로 보편화하면서 모니즈는 “정신증 치료시 뇌엽절제술을 도입“한 업적을 인정받아 1949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그 후에도 뇌엽절제술은 쓸모없는 일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고, 뇌의 일부를 잘라내어 뇌가 담당하는 고도의 기능을 못하게 하는 것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2023.10.11
- 역할을 했는데도 노벨상을 받지 못한 로절런드 프랭클린이 대표적인 예다. 훗날 수상 업적이 엉터리로 밝혀지기도 했고, 1949년 안토니우 모니스의 전두엽 절제술처럼 윤리적으로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잔인한 시술을 확산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월 22일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