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역병"(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2017.09.19
- 그러다 2014년 수만 명이 감염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이듬해까지 이어진 에볼라 역병으로 2만5000여명이 감염돼 1만 명이 넘게 사망했다(균주 유형 변화와 의료 개입으로 치사율이 40%로 떨어졌다). SFTS는 동북아시아의 신생 풍토병으로 그 역사가 불과 10여년 남짓하다. 아직 뾰족한 치료법도 없고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 11년 만에 지구에서 천연두를 추방한 의사 도널드 헨더슨2016.12.28
- 다녔다. 임상보다 역학(epidemiology)에 흥미를 느꼈던 헨더슨은 ‘1832년 뉴욕 콜레라 역병’을 주제로 논문을 써 입상하기도 했다. 1955년 미 질병예방통제센터(CDC)에 들어간 헨더슨은 저명한 역학자 알렌산더 랭뮤어 밑에서 배우며 그가 만든 역학전문요원(EIS) 프로그램에 참여해 훗날 책임자 자리까지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역시 비만이나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지구촌에서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는 21세기 ‘역병’이다. 특히 동아시아가 심한데 요즘 젊은이는 10대를 거치며 70~80%가 근시가 된다. 근시는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근시유전자도 발견됐다) 환경요인의 영향력이 훨씬 크다. 과거에는 잘못된 독서 자세 등이 ...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2015.10.06
- 순간을 나는 영원히 잊을 수 없다. - 윌리엄 캠벨 2014년 서아프리카를 휩쓴 에볼라 역병은 지구촌 보건정책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했다. 치사율 40%에 이르는 무시무시한 신종 전염병이지만 못사는 나라의 풍토병이었기 때문에 40년 가까이 동안 간헐적으로 발생했음에도 치료약이나 백신 개발이 ... ...
-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KISTI l2015.08.11
- 가뭄과 역병은 역사적으로 큰 위기다. 한 나라가 망하기도 하고, 전쟁에서 패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나라가 망하는 원인을 딱 한 가지로 속단할 순 없지만, 기근(饑饉, 흉년으로 양식이 모자라 굶주리는 현상)은 명나라를 멸망에 이른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 있다. 우리나라도 얼마 전 ...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2015.05.18
- 에볼라 퇴치에 다 쏟다보니 다른 전염성 질환에 대한 대비가 소홀해졌고 그 결과 새로운 역병 사태가 올 수 도 있다는 것. 특히 예방접종률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홍역 창궐을 우려했다. 홍역은 과거의 질병 같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환자가 보고되는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2014.08.04
- 20일까지 284명이 발병해 151명이 사망해 53%의 치사율을 보였다. 둘에 한 명이 죽는 엄청난 역병이지만 90%가 넘는 자이르 에볼라에 비하면 훨씬 낮은 수치다. 조사단은 위생상태가 엉망인 면직공장을 샅샅이 뒤져 박쥐, 쥐, 바구미, 거미 등 많은 동물을 채집해 조사했지만 에볼라 바이러스를 ... ...
- 잊을만하면 찾아오는 조류독감, 그 이유는? KISTI l2014.02.04
- 숙주와 미생물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하는 밀집된 숙주의 생활환경, 이 두 가지는 역병(疫病)의 기본 구성 요소다. 그런 점에서 현대화된 가금류 사육시스템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현대식 양계장은 닭과 오리를 좁은 우리에 가두거나 혹은 일정 공간 내에 빽빽하게 몰아넣고 대규모로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