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개
스페셜
"
왕관
"(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리포트]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02.28
관찰하면 전체적으로 동그란 형태에 곤봉과 같은 돌기가 달린 모습인데, 이 형태가
왕관
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유전자가 무엇으로 이뤄졌느냐에 따라 DNA 바이러스와 RNA 바이러스 두 종류로 나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에 해당한다. RNA는 DNA보다 불안정해 돌연변이가 빨리 ... ...
마크로젠-서울대병원 "코로나19 바이러스 9개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2.19
순수 배양에 성공했다. 증식한 바이러스를 투과 전자현미경을 통해 확인한 결과 끝이
왕관
처럼 뾰족한 모양으로 동그랗게 형성된 코로나19 입자를 확인했다. 이후 NGS를 활용해 코로나19의 전장 유전체 분석을 진행했다. NGS 결과 국내 환자에서 분리된 바이러스는 중국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
2020.02.05
알루미늄이 금·은·백금보다 훨씬 비싼 귀금속으로 대접을 받았다. 나폴레옹 3세는
왕관
의 끝을 알루미늄으로 장식했고, 귀한 손님들에게는 알루미늄으로 만든 접시와 술잔을 내놓았다. 미국도 국력을 자랑하기 위해 국회의사당의 돔과 워싱턴 기념비의 꼭대기를 알루미늄으로 치장했다. 그런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코로나바이러스는
왕관
(corona)의 모습을 닮아 '코로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
왕관
의 뿔'에 해당하는 스파이크단백질은 인간 세포 표면에 나 있는 수용체(ACE2)에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를 침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금까지 확인된 결과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특히 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어디인가
2020.01.21
바이러스의 존재가 드러났다. 바이러스 입자 표면에 튀어나온 단백질들의 모습이 마치
왕관
처럼 보인다고 해서 ‘코로나바이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때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는 두 종으로, 각각 OC43과 229E로 불린다. 그 뒤 가축에 감염해 꽤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도 여럿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일으킨다. 1960년대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는 표면 단백질이 돌출돼 있는 모습이
왕관
(corona)처럼 보여 이런 이름이 붙었다. 주로 감기 같은 가벼운 질병을 일으키지만 최근 사스와 메르스의 원인 바이러스로 밝혀지면서 재조명되고 있다. -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제공 사스나 메르스 둘 다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
KISTI
l
2015.03.03
나온 때가 많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헤론 왕으로부터 자신의
왕관
이 정말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조사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고민에 빠졌다. 그러다 머리를 식히기 위해 들어간 목욕탕에서 우연히 부력의 원리를 발견하곤 너무 기쁜 나머지 옷도 입지 않은 채 ‘유레카’라고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