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심각한 극지방, 아직 모르는 것 투성이"
동아사이언스
l
2025.02.09
현재 일어나는 변화를 어떻게 관리할지에 대해 가능한 모든 것을 배워야 할 의무가
우리
에게 있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ence.z7vpo43 - doi.org/10.1126/science.adr7939 - doi.org/10.1126/science.adt9619 - doi.org/10.1126/science.adk2118 - doi.org/10.1126/science.ads154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서툴러도 실패해도 아름다운 이유
2025.02.01
기타 동물과 가장 크게 다른 점이라면 자기 자신의 서사를 스스로 쓸 수 있다는 점이다.
우리
는 제 3자의 눈을 빌려 3인칭으로 자신을 바라보며 기억을 회상하고 자기 자신에 대해 평가하고 정의하는 동물이다. 물론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의 주된 역할은 자신의 언행을 검열하고 반성하는 것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도리도요의 짝짓기 전략, 개체마다 다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6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발견은 기존에
우리
가 알고 있던 호르몬 생성에 필요한 특성에 더해 새로운 사실을 알려준다"며 "호르몬에 대한 새로운 '생명의 규칙'을 찾아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 10.1126/science.adp593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틀릴 때' 더 큰 희열 얻는 '지적 겸손'
2025.01.25
어떤 사람인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들을 정립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우리
는 다른 사람들의 삶을 통해 삶을 배우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지적 겸손도가 높은 사람들이 타인과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삶을 접할수록 삶과 세상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짧고 한 번에 새끼를 많이 낳는다. 그리고 대다수는 늙어 죽기 전에 잡아먹힌다. 따라서
우리
가 생각하는 야생 동물의 생애에 가깝다. 다음은 덩치가 크고 수명이 긴 동물들로 두 가지 생애 전략을 진화시켰다. 먼저 평형 전략으로 성체가 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소수의 새끼를 낳아 오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차별적 판단과 편견을 줄이려면
2025.01.18
점이다. 하지만 다양한 상황에서 대체로 좋은 판단을 내리는 사람들은 실제로 존재하고
우리
는 그런 사람들을 '지혜로운 사람'이라고 부른다. 어쩌면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축적된 방대한 판단 지침이 곧 지혜로움의 정체인지도 모르겠다. 여기에 더해 충분한 합리적 지침이 없는 상황에서는 아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참담한 여객기 사고…사라지지 않는 안전불감증
2025.01.15
공식 명칭은 'H1N1/09'이다. 대형 참사의 공식 명칭에 신경을 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목표를 근거로 삼아야 한다. '제주항공 사고'는 저비용항공사(LCC)에 대한 사회적 규제·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정치 논리에 따라 부실하게 들어선 영세 공항의 안전성 강화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분노들이 모여 세상을 바꾼다
2025.01.11
위해서 지금의 사람들이 실시간으로 세상을 바꾸고 있음을 본다. 이민진 작가의 "역사는
우리
를 저버렸지만 그대로 상관없다"는 말처럼, 약자인 사람들은 나아갈 것이고 지워질지언정 존재할 것이고 과거가 될 지언정 미래의 당신을 구하고 말 것임을 믿는다. Miceli, M., & Castelfranchi, C. (2019). Anger and ... ...
[이덕환의 과학세상] AI 교과서 좌초…학생·교사 혼란 외면하는 교육부
2025.01.01
피드백을 제공해 줄 능력과 여유를 갖추고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어설픈 에듀테크가
우리
사회의 고질적 병폐로 자리 잡은 '부모 찬스'를 더욱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을 더 걱정해야 한다. 디지털 교육이 학생의 정신 건강과 전인적 발달을 위한 사회정서 학습에 심각한 걸림돌이 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핵에 길 잃은 과학기술·교육·의료개혁
2024.12.18
우리
과학계의 현실에 대한 고민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오로지 '남이 장에 간다니
우리
도 따라가 보자'는 식의 선택이었다. 역사에 '과학기술 대통령'으로 남고 싶다는 과욕이 만들어낸 억지였을 뿐이다. 글로벌 국제협력에 대한 지나친 기대도 만만치 않다. 재선에 성공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