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글"(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2023.10.18
- ‘우리 농산물’(2023), 캔버스에 유채(8F). 강석기 제공 “당근색이 안 나오네요...” “음... 잠깐 있어봐.” 글도 그렇지만 그림도 소재를 찾는 게 일이다. 연초에 마땅히 그리고 싶은 게 없던 차 주방 창고에 있는 당근이 눈에 들어왔다. 막 캐낸 것처럼 색이 짙고 신선해 보여 그려보면 어떨까 하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2023.09.09
- 2차 소록도병원 확장공사. 한센인권활동백서 제공 ● 감염병 해결을 위한 나름의 방법 감염병은 인류 역사와 함께 하면서 수시로 인류를 위협해 왔다. 원인과 치료법을 모르던 시기에 인류가 취한 방법은 격리, 소망, 옷 등이 있다. 13세기에 유럽에서 한센병이 유행하자 경험적으로 한센병이 사람 ...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2023.06.30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가끔 트위터 피드를 보면 연구자들이 최근 연구결과에 대한 홍보 게시글을 자주 올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신의 연구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설명하거나 몇 년 동안 야심차게 수행하던 연구결과가 결국 좋은 결실을 맺어 기쁘다는 등의 내용들이 주로 담겨 있다. 연구 트렌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2023.05.31
-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70주년을 맞아 학술지 ‘네이처’는 로절린드 프랭클린의 기여를 재평가한 기고문을 실었다. 위키피디아 제공 올해는 1953년 DNA 이중나선 구조 규명 70주년이지만 조용히 지나갔다. 70은 10년 단위의 하나일 뿐 별다른 의미가 없는 숫자여서일 것이다. 아마도 서구권에서 수나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구급차·응급 환자 분류법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2)2023.05.30
- 황제 시절의 나폴레옹 . 위키미디어 제공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 1769~1821)는 통령, 황제의 위치에 오르고 1815년 웰링턴(Arthur Wellesley, Duke of Wellington)이 이끄는 워털루 전투에서 영국군에게 패함으로써 몰락하기까지 참 많은 전투를 했다. 이 기간 동안 군인 약 250만 명, 민간인 약 100만 명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2023.05.17
- 날씨가 더워지면 맥주를 자주 찾게 된다. 오늘날 세계에서 소비되는 맥주의 90%가 라거이고 그중에서도 색이 옅고 쌉쌀한 청량감이 특징인 필스너 스타일이 가장 흔하다. 필스너 맥주의 원조는 보헤미아(현 체코)의 필스너 우르켈(사진)로 1842년 탄생했다.위키피디아 제공 지난 2015년 술의 과학을 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통조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1) 2023.05.16
- 알프스를 넘고있는 나폴레옹. 위키미디어 제공 ● 황제에 오른 이민자 나폴레옹 흔히 나폴레옹으로 불리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onapart, 1769~1821)는 1789년 프랑스에 대혁명이 일어나 역사의 소용돌이에서 변혁의 물결이 일어나고 있을 때 힘으로 나라를 지배함으로써 유럽에 소란을 일으킨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2023.04.25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인간복제보다 더 엽기적인 머리이식의 선구자 1997년 2월 복제양 돌리가 태어나서 7개월째 잘 자라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많은 사람들이 충격에 휩싸였다. 복제에 의해 동물이 태어난다면 사람도 복제가 가능할 것이고, 복제된 사람들이 내 주변에 돌아다닐 수 있다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2023.04.11
- 두창(천연두)바이러스. 위키미디어 제공 ● 역사 해석이 달라지는 여러 사례들 황산벌에서 신라군과 맞서 싸운 계백의 백제군은 백제에게는 충신이지만 신라에게는 반드시 쳐부수어야 하는 적군이었다. 단종에게는 사육신이 목숨을 건 충신이지만 세조에게 사육신은 죽이지 않으면 두고두고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2023.03.28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들의 인생은 험난할 수도 있다 ‘글로벌 인재’와 같이 세상에서 필요한 사람들의 특징을 이야기할 때 흔히 ‘창의성’이 덕목으로 거론되곤 한다. 그러나 ‘창의성이 뛰어난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았는지를 돌이켜 보면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앞 ... ...
이전123456 다음